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은진송씨 송준길 가문 한글 간찰에 대한 형용사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Adjectives in the Hangeul Letters of the Eunjin Song Jungil Family
발행기관
한국정치사회연구소
저자명
유소함(XiaoHan Liu)
간행물 정보
『한국과 국제사회』제9권 제5호, 947~97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동춘당 송준길 가문의 한글 간찰(17세기 후반~20세기 초, 247편)에 나타난 한자어 형용사 72개를 대상으로 현대국어와의 비교를 통해 음운·형태·통사·의미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표준국어대사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漢語大辭典>을 참조하여 ‘한자어 어근+ᄒᆞ/하’ 및 ‘한자어 어근+롭’ 형태를 갖는 형용사 목록을 작성하고, 그 다음에는 형태 분석을 통해 접미사 결합형과 음운 변이형을 구분하고, 이를 바탕으로 근대국어와 현대국어 간의 음운·형태·의미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마지막에 예문 분석을 통해 논항 구조의 변화 양상을 추적하였다. 연구 결과, 음운·형태적으로는 접미사 결합형 3개와 음운 변이형 35개가 확인되었으며, 후자는 단모음화, 구개음화, 원순모음화, 저모음화, ‘ㆍ’ 탈락 등의 음운 현상을 거쳤다. 통사적으로는 ‘감격ᄒᆞ다'와 같이 근대국어에서 동사와 형용사로 병용되던 어휘가 현대국어에서는 동사로만 쓰이는 품사 변화 사례와 ‘피잔ᄒᆞ다’처럼 소멸한 사례가 확인되었다. 의미적으로는 ‘무ᄉᆡᆨᄒᆞ다’, ‘듕ᄒᆞ다’, ‘급ᄒᆞ다’ 등 23개 형용사에서 의미 확장이 관찰되었으며, 논항 구조는 ‘NP1이 V’에서 ‘NP1이 NP2에/에게 V’로 확장되었다. 본 연구는 간찰이라는 구어적 자료를 통해 근대국어 한자어 형용사의 실제 사용 양상과 변화 과정을 실증적으로 밝혔으며, 공식 문헌에서는 포착하기 어려운 과도기적 변이형과 지역어적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국어사 연구에 기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72 Sino-Korean adjectives found in 247 Hangeul letters of the Dongchundang Song Jungil family (late 17th–early 20th century) to compare them with modern Korean forms in terms of phonology, morphology, syntax, and semantics. Using dictionary references, the research identified suffixal and phonological variants, noting changes such as monophthongization and vowel loss. It found three suffixal types and thirty-five phonological variants. Syntactically, some adjectives that once functioned as both verbs and adjectives now appear only as verbs, while others have disappeared. Semantically, twenty-three adjectives show meaning expansion, and argument structures evolved from “NP1-i V” to “NP1-i NP2-e/-ege V.” Overall, the study reveals the actual usage and transitional changes of Sino-Korean adjectives in Middle Korean, offering empirical insights into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Ⅲ. 『은진송씨 송준길 가문 한글 간찰』 한자어 형용사의 음운·형태 및 통사·의미론적 특징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소함(XiaoHan Liu). (2025).은진송씨 송준길 가문 한글 간찰에 대한 형용사 연구. 한국과 국제사회, 9 (5), 947-973

MLA

유소함(XiaoHan Liu). "은진송씨 송준길 가문 한글 간찰에 대한 형용사 연구." 한국과 국제사회, 9.5(2025): 947-9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