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트페어의 블루오션 전략 연구 : 미디어 아트페어 ‘루프랩부산’을 중심으로

이용수  4

영문명
A Study on the Blue Ocean Strategy of Art Fairs : Focused on the Media Art Fair - Loop Lab Busan
발행기관
한국정치사회연구소
저자명
장자윤(Jhayoon Jang) 김선영(Sunyoung Kim)
간행물 정보
『한국과 국제사회』제9권 제5호, 915~94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5년 아시아 최초로 출범한 미디어 아트페어 '루프랩부산'의 블루오션 전략을 ERRC 프레임워크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질적 사례연구를 채택하고 루프랩부산의 핵심 이해관계자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제거’ 측면에서 루프랩부산은 작품 판매 중심의 일회성 행사 구조와 고정된 오프라인 전시장 중심 운영 모델을 제거하고, 공간 제약을 최소화한 디지털 플랫폼으로 전환하였다. ‘감소’ 측면에서 기술 중심 전시의 이벤트적 성격, 오프라인 중심의 높은 운영 비용, 예술가와 기술 전문가 간 수직적·비대칭적 협업 구조 등의 문제점을 줄였다. ‘증가’ 측면에서 AI 기반 큐레이션 시스템, 작품 관람자 반응 분석 기술, 블록체인 기반 작품 저작권 인증 및 거래 시스템 등을 통해 예술과 기술, 산업 간의 유기적 연결성을 강화함으로써 미디어 아트페어의 지속가능성을 도모하였다. ‘창조’ 측면에서 미디어 아트페어가 단순한 예술 전시를 넘어 문화기술, 콘텐츠산업, 스마트시티 전략과 결합한 혁신적 허브이자 플랫폼 비즈니스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루프랩부산은 미디어 아트페어가 정기적 개최를 통한 제도화, 글로벌 네트워크와의 파트너십 확장, 지역 문화산업과의 융합적 협력, 블록체인·AI 기반의 투명한 거래 생태계 구축을 통해 지속가능한 플랫폼 모델로 발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Facing the red ocean of the traditional art fair market driven by excessive competition, new attempts are emerging to create new art markets through the convergence of art and digital technology. This study analyzes the blue ocean strategy of Loop Lab Busan, Asia’s first media art fair launched in 2025, using the ERRC framework.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 depth interviews with ten key stakeholders. Loop Lab Busan eliminated the sales-centered, one-off event structure and fixed offline model, shifting to a digital platform with minimal spatial constraints. It reduced the temporary nature of tech-centered exhibitions, high offline costs, and unequal collaboration between artists and technologists. It raised the integration of art, technology, and industry through AI curation, audience analysis, and blockchain- based copyright and transactions. It also created an innovative hub combining cultural technology, content industries, and smart city strategies. Despite being a single case, Loop Lab Busan shows potential to evolve into a sustainable platform through regular editions, global partnerships, local industry integration, and transparent blockchain- and AI- based transac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및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자윤(Jhayoon Jang),김선영(Sunyoung Kim). (2025).아트페어의 블루오션 전략 연구 : 미디어 아트페어 ‘루프랩부산’을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사회, 9 (5), 915-946

MLA

장자윤(Jhayoon Jang),김선영(Sunyoung Kim). "아트페어의 블루오션 전략 연구 : 미디어 아트페어 ‘루프랩부산’을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사회, 9.5(2025): 915-9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