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Local Government Ordinances on Children’s Right to Health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김시아(Si ah Kim) 조소연(Soyeun Cho)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9권 제4호, 273~30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 건강권 보장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조례를 분석하여 지역 단위의 법적·제도적 대응 수준을 평가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곳인데 목적이 있다. 분석방법으로는 자치법규정보시스템에서 수집한 아동 건강권 관련 조례 38개를 대상으로 규범성과 실효성 체계를 중심으로 분석틀을 구성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수의 조례는 일정 수준의 규범성을 확보하고 있었으며, 정신건강, 금연·절주, 영양 관리 등 아동의 전인적 건강권에 대한 지역사회의 관심이 반영되고 있었다. 둘째, 전달체계 조항은 주로 강행규정으로 구성되어 실효성 기반이 마련되어 있었다. 셋째, 재정 책임, 전문 인력 구성, 벌칙 조항 등 핵심 실효성 요소는 미흡하거나 임의규정에 그쳤으며, 조례 간 명칭·용어·대상 규정의 일관성 부족과 디지털 과의존, 성 건강 등 최근 이슈의 반영 한계도 드러났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아동 건강권의 법적 지위 명확화, 강행규정 확대를 통한 실행력 강화, 지역 맞춤형 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 기반 행정, 조례 실행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및 지원 체계 구축 등 정책 과제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local governments address children’s right to health through their ordinances and considers implications for policy. A total of 38 ordinances was collected from the Local Ordinances Information System and analyzed using a framework that considered normative validity and practical effectiveness. The analysis showed that many ordinances reflected local concern for children’s holistic health, including mental health, smoking and alcohol prevention, and nutrition, and provided a basic normative foundation. Provisions on service delivery were generally mandatory, but key elements for implementation—such as fiscal responsibility, staffing, and enforcement—were often weak or optional. The study also found inconsistencies in ordinance titles, terminology, and target groups, and limited attention to emerging issues like digital dependency and sexual health. These findings point to the need to clarify the legal status of children’s right to health, expand mandatory provisions to strengthen enforceability, improve evidence-based governance for local health policy, and support local governments in building capacity for implement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국제사회 제9권 제4호 목차
- 지역가치형 비즈니스모델 분석을 통한 지역문화의 경제적·문화적 가치증진 방안 연구
- 문화적 도시재생에 의한 공간의 사회적 생산 사례 연구 : 이탈리아 Farm Cultural Park를 중심으로
- 청년 건강 증진을 위한 미국 정책 사례 및 시계열 자료 분석
- 청소년의 문화다양성 인식 연구
- 청년세대 사회적 고립이 일상적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정서적·물리적 고립과 소득 수준 간 상호작용 분석
- 국내 대학 교양교육 거버넌스 유형과 과제 : 조직 구조와 운영 체계를 중심으로
- 대학 교양교육에서 아들러 심리학의 격려 개념 적용 가능성 탐색 : 이론적 분석과 적용 방향을 중심으로
- 강의 요약 활동을 통한 대학생과 교수자의 교육적 효과 분석
- 지역학 수업에서의 혁신교수법 적용에 관한 경험적 연구 : <베트남학입문> 사례를 중심으로
- 지역 고용 회복력의 정의, 측정, 실천 : 이론과 정책의 다층적 접근
- 대학의 노인복지론 수업에 적용한 산학연계형 문제중심학습(IC-PBL) 경험에 관한 연구
- 혁신도시 이주여성의 마을공동체 활동 참여를 통한 변화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나주혁신도시를 중심으로
- 지방자치단체 아동 건강권 관련 조례 분석
- 서울시민의 사회적 신뢰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인간관계 만족과 자아존중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분석
- 국가보훈대상자의 자긍심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 보훈정책서비스 만족도의 조절효과
- 시민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 대전시립무용단 <한국춤 선(僊)부채 산조-초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트리플 힐릭스 관점에 의한 도자기산업 클러스터 분석 : 중국 경덕진을 중심으로
- 텍스트마이닝 기반 스포츠클럽 언론보도 분석 : 정책·제도 현황과 개선 방향
- 한국 Z세대 밈(Meme) 사용의 사회적 행태 연구
- 민족적 경계인 : 귀환 고려인의 사회자본과 타자화 경험에 대한 질적 탐색
- 로마의 평화체제(Pax-Romana)에 대한 예수의 입장 : 예수의 시선과 오늘의 사회통합
- 국가 외교전략으로서의 보훈외교 : 에티오피아 사례에 대한 담론 분석
- 인도 힌두 민족주의 부상과 종교 다원주의 교육의 도전
- 난민협약 미가입국의 난민정책과 정책 분기 : 태국과 방글라데시의 난민정책 비교
- 세계 평화교육 사례 분석을 통해 본 북한이탈청소년 통합교육 활성화 방안
- 인도네시아어-한국어 성적 은유 번역 전략 : 『호랑이 남자』를 중심으로
- 왕립아시아학회지 『트랜잭션』에 나타난 근대 한국의 자연과 생태연구 : 1930-1940년대 논문을 중심으로
- 이민자의 한국어 종결어미 사용 오류 양상
- 탈식민지기 일본어교육의 궤적 : 교육 담론의 이행 과정을 중심으로
- 비원어민 한국어교원 대상 한국문학교육 방안 연구 : 베트남 교원 연수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 집단미술치료가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정서표현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불안민감성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 2000년대 이후 노인평생교육 연구동향 : 국내 주요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스트레스와 이상섭식태도와의 관계에서 음식갈망의 매개효과와 자기통제력의 조절된 매개효과
- 교사-유아 관계 및 부모-교사 파트너십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력
- 임신거부증에 대한 사회윤리적 분석과 성찰 : 생명의 환대와 사회적 책임
- 요양병원간호사의 공감역량과 윤리적민감성, 환자중심간호, 간호업무수행 간 구조적 모형분석
-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교회학교 교사의 인식과 실천
- 상호주관적 관계 형성을 위한 시기심과 좋은 대상 경험 연구
- 결혼이주여성 노인의 노후준비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 한국 플랫폼 산업 규제의 진화 : 분산형 거버넌스와 산업구조의 동태적 상호작용
- 변혁적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비공식 커뮤니케이션과 자기효능감의 다중 매개 및 고용형태의 조절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한국과 국제사회 제9권 제4호 목차
- 지역가치형 비즈니스모델 분석을 통한 지역문화의 경제적·문화적 가치증진 방안 연구
- 문화적 도시재생에 의한 공간의 사회적 생산 사례 연구 : 이탈리아 Farm Cultural Park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