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빈집 공간분포에 따른 도시쇠퇴 특성 분석 - 서울특별시 노원구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sis of Urban Declin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Vacant Houses : Focusing on Nowon-gu, Seoul
발행기관
한국부동산융복합학회
저자명
전상현(Sanghyeon Jeon) 신천호(Cheonho Shin) 김성용(Sungyoung Kim)
간행물 정보
『부동산융복합연구』제5권 제3호, 169~19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울시 내에서도 높은 빈집 증가율을 보이는 노원구를 대상으로 빈집의 발생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지역 맞춤형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간 빈집 관련 연구가 주로 농촌 및 지방 중소도시에 집중되었던 것과 달리, 본 연구는 대도시 주 거지역인 노원구의 특수성에 주목하여 연구의 차별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노 원구가 2023년 실시한 빈집 실태조사 자료 중 도시정비사업구역을 제외한 93호의 위치 정보 를 포함한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T-test와 카이제곱( test) 검정을 통해 빈집 발생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원구의 빈집은 평균 건축연한이 약 36년에 달하는 노후화된 주택에 집중되 었으며, 특히 엘리베이터가 없는 다세대 및 단독·다가구 주택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통계 적으로 빈집 발생은 인구·사회적 요인보다 정비구역 지정 여부, 주택 유형, 엘리베이터 유무 등 물리적·공간적 특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이러한 빈집은 아파트보다 연립· 다세대 및 단독·다가구 주택의 매매 및 전세 시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 방안을 제안한다. 첫째, 빈집의 상태와 입지 등급에 따른 차등화된 활용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일반지역 빈집 관리를 위한 조례 개정과 전담 조직 설립 등 제도적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소유주, 주민, 사회적 경 제 주체가 참여하는 민관협력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여 자발적 정비를 유도해야 한다. 넷째, 빈집을 창업 공간이나 커뮤니티 시설로 활용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와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해 야 한다. 본 연구는 대도시 쇠퇴의 선행지표인 빈집 문제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통해, 빈집이 도시의 잠재적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vacant house characteristics in Nowon-gu, Seoul, a metropolitan area with a high vacancy increase rate, to propose tailored policy alternatives. Unlike prior studies on rural area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unique context of a major residential district. Using data from the 2023 Nowon-gu vacant house survey, this study employs T-tests and Chi-squared tests. The results show that vacant houses are concentrated in aged, low-rise residential buildings without elevators. The analysis reveal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and spatial factors, such as redevelopment zone status and housing type, rather than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se vacancies notably impact the sales and jeonse markets for non-apartment housing. Based on these findings, we recommend a differentiated utilization strategy based on property condition, strengthening the institutional framework, establishing a public-private governance system, and linking vacant house utilization with local economic revitalization. This research offers practical policy directions to transform urban vacant properties into valuable community asse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검토
Ⅲ. 빈집 사례분석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상현(Sanghyeon Jeon),신천호(Cheonho Shin),김성용(Sungyoung Kim). (2025).빈집 공간분포에 따른 도시쇠퇴 특성 분석 - 서울특별시 노원구를 중심으로. 부동산융복합연구, 5 (3), 169-192

MLA

전상현(Sanghyeon Jeon),신천호(Cheonho Shin),김성용(Sungyoung Kim). "빈집 공간분포에 따른 도시쇠퇴 특성 분석 - 서울특별시 노원구를 중심으로." 부동산융복합연구, 5.3(2025): 169-1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