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process of change through participation in village community activities of migrant women in innovative cities : Focusing on Naju Innovation City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김혜신(HyeShin Kim) 박진영(JinYou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9권 제4호, 305~33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공기관 지방이전 정책에 따라 나주 혁신도시로 이주한 여성들의 마을공동체 활동 참여를 통한 변화과정을 탐색하여 이들의 안정적인 정착과 성장을 위한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나주 혁신도시 이주여성 중 마을공동체 활동 경험이 있는 7명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혁신도시 이주여성의 마을공동체 활동 참여동기는 정주환경의 불편함, 개인적 친분관계에 의한 이끌림, 내 아이를 잘 키우고 싶은 사적 욕구, 새로운 환경 적응을 위한 평생교육 참여로 나타났다. 참여경험으로는 새로운 경험과 활동성과의 인정, 학습을 통한 새로운 분야 전문가 되어보기, 사회적 역할과 연결망의 자연스러운 확대를 경험하였다. 변화과정에서는 사적인 의도에서 시작한 마을공동체 활동이 평생학습과 공동체 활동의 선순환을 통해 적극적 참여로 변화하였으며, 지역의 다양한 영역으로 역할 수행 범위가 확대되어 소속감과 애착심을 가진 지역민으로 성장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women who migrated to Naju Innovation City through village community activities participation, aiming to identify support measures for stable settlement. Using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migrant women. Results revealed that participation motivations included settlement inconveniences, personal relationships, child-rearing desires, and lifelong education needs for environmental adaptation. Participation experiences encompassed recognition of new activities, becoming experts through learning, and expanding social roles and networks. The change process showed that community activities, initially driven by private intentions, evolved into active participation through a virtuous cycle of lifelong learning, expanding participants' roles across various regional areas and developing them into local residents with belonging and attach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국제사회 제9권 제4호 목차
- 지역가치형 비즈니스모델 분석을 통한 지역문화의 경제적·문화적 가치증진 방안 연구
- 문화적 도시재생에 의한 공간의 사회적 생산 사례 연구 : 이탈리아 Farm Cultural Park를 중심으로
- 청년 건강 증진을 위한 미국 정책 사례 및 시계열 자료 분석
- 청소년의 문화다양성 인식 연구
- 청년세대 사회적 고립이 일상적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정서적·물리적 고립과 소득 수준 간 상호작용 분석
- 국내 대학 교양교육 거버넌스 유형과 과제 : 조직 구조와 운영 체계를 중심으로
- 대학 교양교육에서 아들러 심리학의 격려 개념 적용 가능성 탐색 : 이론적 분석과 적용 방향을 중심으로
- 강의 요약 활동을 통한 대학생과 교수자의 교육적 효과 분석
- 지역학 수업에서의 혁신교수법 적용에 관한 경험적 연구 : <베트남학입문> 사례를 중심으로
- 지역 고용 회복력의 정의, 측정, 실천 : 이론과 정책의 다층적 접근
- 대학의 노인복지론 수업에 적용한 산학연계형 문제중심학습(IC-PBL) 경험에 관한 연구
- 혁신도시 이주여성의 마을공동체 활동 참여를 통한 변화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나주혁신도시를 중심으로
- 지방자치단체 아동 건강권 관련 조례 분석
- 서울시민의 사회적 신뢰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인간관계 만족과 자아존중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분석
- 국가보훈대상자의 자긍심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 보훈정책서비스 만족도의 조절효과
- 시민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 대전시립무용단 <한국춤 선(僊)부채 산조-초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트리플 힐릭스 관점에 의한 도자기산업 클러스터 분석 : 중국 경덕진을 중심으로
- 텍스트마이닝 기반 스포츠클럽 언론보도 분석 : 정책·제도 현황과 개선 방향
- 한국 Z세대 밈(Meme) 사용의 사회적 행태 연구
- 민족적 경계인 : 귀환 고려인의 사회자본과 타자화 경험에 대한 질적 탐색
- 로마의 평화체제(Pax-Romana)에 대한 예수의 입장 : 예수의 시선과 오늘의 사회통합
- 국가 외교전략으로서의 보훈외교 : 에티오피아 사례에 대한 담론 분석
- 인도 힌두 민족주의 부상과 종교 다원주의 교육의 도전
- 난민협약 미가입국의 난민정책과 정책 분기 : 태국과 방글라데시의 난민정책 비교
- 세계 평화교육 사례 분석을 통해 본 북한이탈청소년 통합교육 활성화 방안
- 인도네시아어-한국어 성적 은유 번역 전략 : 『호랑이 남자』를 중심으로
- 왕립아시아학회지 『트랜잭션』에 나타난 근대 한국의 자연과 생태연구 : 1930-1940년대 논문을 중심으로
- 이민자의 한국어 종결어미 사용 오류 양상
- 탈식민지기 일본어교육의 궤적 : 교육 담론의 이행 과정을 중심으로
- 비원어민 한국어교원 대상 한국문학교육 방안 연구 : 베트남 교원 연수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 집단미술치료가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정서표현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불안민감성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 2000년대 이후 노인평생교육 연구동향 : 국내 주요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스트레스와 이상섭식태도와의 관계에서 음식갈망의 매개효과와 자기통제력의 조절된 매개효과
- 교사-유아 관계 및 부모-교사 파트너십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력
- 임신거부증에 대한 사회윤리적 분석과 성찰 : 생명의 환대와 사회적 책임
- 요양병원간호사의 공감역량과 윤리적민감성, 환자중심간호, 간호업무수행 간 구조적 모형분석
-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교회학교 교사의 인식과 실천
- 상호주관적 관계 형성을 위한 시기심과 좋은 대상 경험 연구
- 결혼이주여성 노인의 노후준비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 한국 플랫폼 산업 규제의 진화 : 분산형 거버넌스와 산업구조의 동태적 상호작용
- 변혁적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비공식 커뮤니케이션과 자기효능감의 다중 매개 및 고용형태의 조절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한국과 국제사회 제9권 제4호 목차
- 지역가치형 비즈니스모델 분석을 통한 지역문화의 경제적·문화적 가치증진 방안 연구
- 문화적 도시재생에 의한 공간의 사회적 생산 사례 연구 : 이탈리아 Farm Cultural Park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