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가 외교전략으로서의 보훈외교 : 에티오피아 사례에 대한 담론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Diplomacy of Veterans as a National Foreign Policy Strategy : A Discourse Analysis of the Ethiopia Case
발행기관
한국정치사회연구소
저자명
이진영(Jinyoung Lee) 권재범(Jaebeom Kwon)
간행물 정보
『한국과 국제사회』제9권 제4호, 587~61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전쟁 참전국에 대한 감사와 기념을 외교 전략으로 활용하는 ‘보훈외교’가 어떻게 정권별로 구성되고 외교정책에 통합되어 왔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 연구들이 보훈외교를 상징적 기념행위나 도덕적 책무 차원에서 공공외교 혹은 소프트파워 전략으로 제한적으로 해석해 온 반면, 본 연구는 보훈외교가 정권의 외교기조, 국제정세, 정책 우선순위에 따라 전략적으로 구성되는 외교정책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에티오피아 사례를 중심으로 역대 한국 정부의 보훈외교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명박 정부는 ‘Global Korea’ 구상 아래 보훈외교를 ODA 및 경제협력 중심의 실용주의 외교와 결합하였으며, 문재인 정부는 포용과 평화를 지향하는 외교정책을 통해 시민참여형 보훈외교를 전개하였다. 윤석열 정부는 ‘글로벌 중추국가’ 구상을 바탕으로 보훈외교의 브랜드화와 제도화를 추진하였다. 한국 정부는 보훈외교를 단절 없이 계승·변형하며 정책 도구로 활용해 왔으며, 특히 ODA 및 민간 부문과의 연계는 보훈외교의 지속성과 제도화 가능성을 강화하는 주요 경로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보훈외교가 단순한 역사기억의 재현을 넘어, 정권별 전략 및 외교 노선에 따라 능동적으로 구성되는 복합적 외교 수단임을 보여주며, 향후 중견국 외교전략과 역사 외교 간의 연계 가능성을 모색하는 분석틀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South Korea’s “veterans diplomacy,” which leverages gratitude and commemoration toward Korean War participating countries as a strategic tool of foreign policy. While existing scholarship has emphasized symbolic and moral aspects, this research investigates its role as a state-led policy instrument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ee Myung-bak, Moon Jae-in, and Yoon Suk-yeol administrations, with Ethiopia as the main case. The findings show that veterans diplomacy has been adapted in line with each administration’s foreign policy orientation: linked to development cooperation under the “Global Korea” initiative, integrated into citizen-centered public diplomacy through the foreign policy and rebranded within the “Global Pivotal State” vision, emphasizing digital memory diplomacy and high-level bilateral engagement. Despite differences in ideology and strategy, all three administrations have sustained veterans diplomacy, reinforcing its institutionalization through connections with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and civil society participation. The study highlights veterans diplomacy as a dynamic and evolving diplomatic asset, shaped by regime-specific strategies, and offers insights into its relevance for middle power diplomacy and historical memory politics.

목차

Ⅰ. 서론
Ⅱ. 보훈외교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설계
Ⅳ. 분석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진영(Jinyoung Lee),권재범(Jaebeom Kwon). (2025).국가 외교전략으로서의 보훈외교 : 에티오피아 사례에 대한 담론 분석. 한국과 국제사회, 9 (4), 587-612

MLA

이진영(Jinyoung Lee),권재범(Jaebeom Kwon). "국가 외교전략으로서의 보훈외교 : 에티오피아 사례에 대한 담론 분석." 한국과 국제사회, 9.4(2025): 587-6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