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상호주관적 관계 형성을 위한 시기심과 좋은 대상 경험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Envy and Positive Object Experiences for the Formation of Intersubjective Relationships
발행기관
한국정치사회연구소
저자명
황지영(Ji-Young Hwang) 김태완(Tae-wan Kim)
간행물 정보
『한국과 국제사회』제9권 제4호, 1121~115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상호주관적 관계 형성에 있어 시기심이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며, 이를 수용하고 변화시키는 데 있어 '좋은 대상 경험'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시기심은 단순한 부정적 정서가 아닌 초기 관계 경험의 내면화와 자기 결핍에서 비롯된 복합적 감정으로 재해석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해석학적 접근과 도구적 사례연구를 적용하였으며, 연구자 자신의 사례와 드라마 <악귀>의 상징적 서사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시기심은 억압하거나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수용하고 통합할 수 있을 때 자아의 성숙과 상호주관적 관계 형성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정서적 울타리로 기능하는 '좋은 대상 경험'은 시기심을 조절하고, 자폐적 고립상태에서 벗어나 통합된 자아로 나아가는 데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는 시기심을 병리적으로만 간주하지 않고, 관계적 성숙의 심리적 자원으로 재조명하며, 상호주관적 관계 회복을 위한 '좋은 어른'의 상징적 역할과 그 내면화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의 반복되는 관계 실패의 패턴을 이해하고, 정서적 자기 인식과 상호주관적 관계 형성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how envy operates in the formation of intersubjective relationships and what role “good object experience” plays in accepting and changing it. The study employed an interpretive approach and instrumental case study methodology, analyzing the researcher's own case and the symbolic narrative of the drama as research subjects. The results confirmed that envy can be accepted and integrated, enabling self-maturity and the formation of intersubjective relationships. In particular, “good object experience,” which functions as an emotional barrier, played a key role in regulating envy and moving away from autistic isolation toward an integrated self. This study reexamined envy not merely as a pathological condition but as a psychological resource for relational maturity, emphasizing the symbolic role of the “good adult” in restoring intersubjective relationships and the importance of internalizing this role. Through this, the study sought to understand the patterns of our recurring relational failures and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emotional self-awareness and the formation of intersubjective relationships.

목차

Ⅰ. 서론
Ⅱ. 관련 선행 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이론적 배경
Ⅴ. 상호주관적 관점에서 본 시기심의 관계 분석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지영(Ji-Young Hwang),김태완(Tae-wan Kim). (2025).상호주관적 관계 형성을 위한 시기심과 좋은 대상 경험 연구. 한국과 국제사회, 9 (4), 1121-1154

MLA

황지영(Ji-Young Hwang),김태완(Tae-wan Kim). "상호주관적 관계 형성을 위한 시기심과 좋은 대상 경험 연구." 한국과 국제사회, 9.4(2025): 1121-11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