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특수교육에 있어서의 협력교수 실태 및 교사의 인식

이용수  0

영문명
Circumstance and Teacher's Recognition of Co-teaching in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박재현 박재국 김영미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2호, 417~44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특수교육에 있어서의 협력교수 실태 및 교사들의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가장 통합적인 환경에서 특수교육 대상아동을 포함한 모든 학생들에게 직접적이고 실질적인 교육적 서비스를 제공해 주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부산지역 소재의 특수학급이 설치된 초등학교 337개교 중 현재 협력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특수교사(n=70)와 통합학급 교사(n=100) 총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모두 협력교수와 관련된 연수 경험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주 1~2회 미술, 수학, 체육 교과 순으로 통합학급 교사가 수업을 주도하고 특수교사가 보조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형태로 협력교수를 실시하고 있었다. 하지만 아동 평가는 서술적 평가의 형태로 사회적 영역을 중심으로 특수교사가 주로 실시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보다 성공적인 통합을 위해서라도 협력교수 관련 연수프로그램 개발 및 원격연수를 포함한 다양한 채널을 통한 연수기회 확대 등 교육청 차원의 노력들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특히 교사들의 업무 경감을 통해 교수방법에서의 수정에 할애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제공해줄 필요가 있으며, 보조원을 활용한 수업 지원 형태의 정착 및 스테이션 교수나 평행 교수 등과 같은 협력교수 형태의 시도가 국가 차원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권장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행정정보시스템 상에서의 특수학급 학생 평가 실시나 협력교수 평가 지침 마련 등을 통해 학년/학교 간 정보가 연계되어 평가 결과가 전달되고 관리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할 것이다. 둘째, 협력교수에 대해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모두 협력교수는 중요하며, 특히 장애아동의 사회성 증진에는 매우 효과가 있음을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의 협력교수경력 및 장애아동의 장애영역에 상관없이 교사들은 협력교수는 매우 중요하지만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통합교육 관련 연수, 특수학급 환경 개선, 교사 인식 변화 등으로 협력교수에 필요한 요구와 정보가 공유되고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하지만 통합학급 교사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서는 가산점 부여나 수당 지급 등 물질적 지원보다 연수 기회의 보장이나 권장사항에 그치고 있는 통합학급 관련 지원들을 강화해 주는 방향으로 정책이 개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recognition of teachers and to investigate circumstance of co-teaching in the field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while suggesting fundamental documents for more effective operation. Subjects are 70 specials teachers and 100 teachers of integrated class out of 337 elementary school in which special classes for disabilities exist. Based on the questions used on precedent study, the survey adjusted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utilized, asking preparation, operation and evaluation of co-teaching and their perception about it.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percentage, average, t-test and ANOV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both a number of special teachers and teachers of integrated class responded they didn't get any training in preparation of co-teaching. The survey showed that special teachers received more training and experiences than general teachers of integrated class which implied that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 for them is necessary. All respondents said that special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of integrated class collaborate to be in ready for co-teaching, while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personnel revealed low participation. Half of respondents agreed that they clarify co-teaching contents in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indicating its relative less application in that area. Teaching modification, the most challenging part of co-teaching turned out to be teaching method modification. And, in executing team teaching, the most frequent response was one to twice a week. co-teaching utilized subjects are Art, Math, Physical Education and Korean in sequence. The most frequent teaching formation is one teacher-one assistant or special education assistant. Yet, special teachers are not allowed to have same educational status with integrated class teachers. In group activities, the survey showed that handicapped students are in separation from the groups of normal students. It awakens us to make supports so that disabilities students can more active efforts in interacting with normal students. Second, most of respondents agreed that special teachers evaluates co-teaching. They weigh sociality high in their evaluation, according to the survey. In evaluation method, special teachers make statement evaluation, while teachers of integrated class use Pass/Fail. And, teacher's opinion varied in current co-teaching level. Teachers of integrated class perceive that not enough co-teaching was carried out than special teachers feel.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o-teaching. Every respondent said “Yes” in concerning ques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재현,박재국,김영미. (2010).초등특수교육에 있어서의 협력교수 실태 및 교사의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12 (2), 417-445

MLA

박재현,박재국,김영미. "초등특수교육에 있어서의 협력교수 실태 및 교사의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12.2(2010): 417-4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