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oles and Competencies of Teacher Facilitators in the Participatory School Space Design Process: A Focus Group Interview Study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문경숙(Kyoung-Sook Moon) 고인룡(In-Lyong Koh)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1권 제5호, 39~6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공간혁신의 사용자 참여설계 과정에서 교사가 퍼실리테이터로 수행하는 역할을 규명하고, 이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체계적으로 도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양성 연수 과정 프로토타입을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국내외 학교공간혁신 및 퍼실리테이터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특히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동향과 퍼실리테이터의 유형을 검토하였다. 이를 토대로 정성적 접근 방법인 초점집단면접(FGI)을 실시하였으며, 사용자 참여설계에 참여한 교사, 건축 전문가, 정책 담당자 등 14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 개방형 코딩, 주제화 과정을 거쳐 교사 퍼실리테이터의 핵심 역량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결과는 전문가 검토를 통해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교사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은 ‘교육-공간 연계 전문가’, ‘참여적 공간 사용자’, ‘교육적 프로세스 촉진자’의 세 축으로 구조화되었으며, 관련 역량은 태도, 소통, 기술, 지식, 관리의 다섯 영역으로 정리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역할-역량 연계를 실증적으로 제시하여 현장 연수 표준화와 협업 모델 설계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학교공간혁신 사용자 참여설계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교사 퍼실리테이터의 고유한 역할과 핵심 역량이 명확히 정의되어야 함을 강조하며, 이를 체계적으로 교육과정에 통합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된 역량 체계와 교육과정 모델은 향후 교사 연수 및 정책 수립의 실천적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specific roles of teacher facilitators in the user-participatory design process for school space innovation, and identified the essential competencies required. Based on these findings, a prototype curriculum for competency-based training is proposed.
Methods: A literature review on school space innovation and facilitation was conducted, followed by qualitative research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FGIs). Fourteen participants - including teachers, architects, and policy officials - shared their experiences in participatory school design. Transcripts were open-coded and thematically analyzed, and the resulting competencies were validated through expert review.
Results: The analysis showed that teacher-facilitators in school space innovation are structured into three roles - Educational Space Integrator, Participatory Space User, and Educational Process Facilitator. Their competencies were organized into five domains: attitude, communication, skills, knowledge, and management. The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f these role-competency linkages as a basis for standardized training and collaborative model design.
Conclusion: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clearly defining the unique roles and core competencies of teacher facilitators to ensure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user-participatory school space innovation. It further recommends the systematic integration of these competencies into teacher training curricula. The proposed competency framework and curriculum model are expected to serve as a practical foundation for futur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education policy plann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원교육 제41권 제5호 목차
-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교육청을 중심으로
- 학교공간혁신 참여설계 과정에서 교사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역량 - FGI 연구
- 교사 자율성은 직무만족도를 높이는가? - TALIS 2018 중학교 교사 자료 분석
- 중·고등학생 논설문의 지프의 법칙 실현 양상
- 초등학교 남교사의 일·가정 양립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축구 종목 학교 팀과 클럽 팀 학생선수의 진로타협 경향성 비교 - 진로지도의 관점에서
- The Impact of a 3D-Printed PVT Phase Equilibrium Model for Water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Scientific Empathy
- 교직 생활을 통한 특수학교 특수교사의 학습경험 탐구 - 중도중복장애학생 지도경험을 중심으로
- 초등교사의 교사 정체성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2005년부터 2024년까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 초등 저경력 교사의 소진에 대한 업무부담감과 학부모 갈등의 역할 및 사회적 관계의 조절효과 검증
- 코페티션과 비경쟁 상황에서 초등학생의 생리적 반응에 대한 탐색 - 뇌파와 맥파 중심으로
- 전라남도 초등교사의 교사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 및 실행 수준 분석
- 중국 소수민족 지역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직업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연변지역을 중심으로
- 체육 수업 참여 중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내적 동기, 수업 몰입의 구조적 관계
- 통일 역량(Unification Competence) 측정 도구 개발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학교운동부 운영 관련 담론분석
- 교사의 경력개발 경험 및 인식의 조합과 직무역량
- 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사의 전문성 개발과 발현에 관한 연구
- 동료협력 기반 TPACK 수업이 초등 예비교사의 통합적 교수역량 및 과학과 수업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공통국어 1 수행평가의 문제 양상 분석 - 수행평가의 내실화와 성취 수준을 중심으로
- 증강텍스트 읽기 수업에 대한 독자의 흥미 연구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개념 기반 탐구학습의 설계 및 적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개념 기반 탐구학습의 설계 및 적용
- 증강텍스트 읽기 수업에 대한 독자의 흥미 연구
- 공통국어 1 수행평가의 문제 양상 분석 - 수행평가의 내실화와 성취 수준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