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앙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에 대한 특수교육관계자의 인식 및 운영방안 탐색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need analysis and management plan for the centr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강경숙 육주혜 박근호 김호연 정광조 김태준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2호, 459~48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각 지역의 특수교육지원센터가 한정된 인력과 자체적인 프로그램에 의해 운영되기 때문에 장애인들에게 통합되고 표준화된 교육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는 비효율성을 해소하기 위해 중앙특수교육지원센터를 운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별도의 중앙기관 운영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특수교육관련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델파이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해 요구를 분석하였고, 중앙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세부적인 운영방안을 귀납적으로 도출해내었다. 델파이조사는 특수교육관련 전문가 1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의견을 토대로 연구자 협의를 통해 설문조사 문항을 10개 항목으로 개발하였다. 전국의 교장(감), 장학사, 교사(특수교육지원센터 담당자 포함), 학부모 등 관련집단을 대상으로 1,152명이 참여하였다. 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를 연계하여 불균형을 해소하고 상호간 교류를 할 수 있는 중앙 협의체를 통한 네트워크를 필요로 하였다. 중앙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방안으로는 첫째, 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 간의 네트워크 시스템 운영 둘째, 특정 주제별 연수 및 워크숍 실시 셋째, 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매뉴얼을 개발 보급 넷째, 장애관련 통합적인 자원정보제공 및 상담을 위한 핫라인(전화) 전담 부서 운영 다섯째, 시·청각장애아동을 위한 교수학습지원센터 운영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entr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alleviating regional gap between region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with limited personnel and programs which depended on regional conditions. To establish this purpose, the current status and need analysis were applied through delphi method with 14 special education related professionals and survey with 1,152 related persons such a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dministrators, parents nationwide to this study. And conclusively, concrete management plans for centr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ere proposed inductively. As results of delphi method and survey, to manage centr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efficiently, the following efforts were suggested.: 1) operation of network system between region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2) implementation of thematic in-service training and workshop; 3) development and supply of operation manuals; 4) operation of hot-line booth for counselling and information services; 5) management of teaching-learning support center for hearing-visual impairment in inclusive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특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실태 및 개선방안
- 반편견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
-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지역사회 활용기술에 미치는 영향
- 초등특수교육에 있어서의 협력교수 실태 및 교사의 인식
- 동요 부르기의 통합적 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어휘력 및 화용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미국의 반응중심 중재법 채택이 국내 학습장애 진단평가 정책에 주는 시사점
- ADHD 성향 아동에 대한 부모와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비교연구
-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시제 이해 및 산출 특성 비교
- 장애아 통합 및 전담 보육시설에서의 관련 서비스 실태와 실행에 관한 부모 인식 비교
- 인공와우 사용 청각장애아동의 교대운동속도
- 청각장애학생의 독서능력 신장 연구
- 일반학급 발달장애아동의 긍정적 행동 지원체계 개발을 위한 지원요소 분석
- 그림동화책 읽어주기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통합학급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리더십, 학교문화, 학교 재구조화, 통합교육 효과의 인과관계분석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공동협력을 통한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에 관한 실행연구
- 한국판 학습장애 평가척도 문항분석
- 장애유아의 교육적 통합에 대한 일반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 다운증후군아동 얼굴수술에 대한 실태 및 그 효과에 관한 조사 연구
-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 형제의 인식에 관한 연구
- 해결중심 단기상담이 정서‧행동장애 학생의 정서문제, 수업중 부적절한 행동, 공격행동 및 긍정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중앙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에 대한 특수교육관계자의 인식 및 운영방안 탐색 연구
- 특수교육 교직과목을 수강한 예비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 유치원통합교육에 대한 자폐스펙트럼 장애유아 부모의 요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ntegrating the Spirit of the 20th National Congress of the CPC into the Teaching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Courses in Higher Education: Reflections and Practices
- 플라톤의 「고르기아스」: 수사술과 논박
- ‘자기 형성’에 관한 도덕교육의 철학적 기반 탐색: 「중용」(中庸)의 ‘성’(誠)과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의 ‘자기 진실성’ 개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