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동화책 읽어주기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picture book Reading on Improvement of Language Skills of Children in Multi-Culture Family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선애순 권순황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2호, 255~27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림동화책 읽어주기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 Y군에 위치한 W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다문화가정 아동 만 5세 남·여 각각 4명씩 8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구성하여 사회성숙도 검사와 인물화 간편지능 검사를 통하여 동질성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능력의 향상정도는 취학 전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검사(PRES)를 실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처치는 주 1회씩 총 12회 12주 동안 실시하였으며 회기당 소요 시간은 40분으로 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언어능력 측정은 PRES검사로 프로그램을 3회기 마칠 때마다 실시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동화책 읽어주기는 학령기 이전의 다문화가정 아동의 수용언어를 구성 단계별로 의미있게 향상시켜 주는 프로그램으로 수용언어 발달에 지체를 보이는 학령기 이전의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그림동화책 읽어주기 프로그램은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둘째, 그림동화책 읽어주기는 학령기 이전의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언어 구성 단계별로 의미있게 향상시켜 주는 프로그램으로 표현언어 발달에 지체를 보이는 학령기 이전의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그림 동화책 읽어주기 프로그램은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그림동화책 읽어주기는 학령기 이전의 농촌의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의미있게 수용언어와 표현언어를 향상시켜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이를 기능적 언어발달 장애아동에게 일반화시켜 적용함으로서 언어발달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n the effects of picture book reading on improvement of language skills of children in multi-culture family. For rhis study, 8 boys and girls aged 5 in full in multi-culture family were selected in a day care center in Y district, Jeollanamdo. They were divided into the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and the homogeneous structure was applied. PRES(Preschool Receptive- Expressive Language Scale)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ag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reading picture books have positive effects for development of receptive language of children in multi-culture family. In particular, picture book reading program generated the positive effect in development of receptive language by stage by providing the opportunity to gradually and naturally improve the receptive language ability and so linking the improved receptive language to the self concept of children in multi-culture family. Second, reading picture books effectively improved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y of children in multi-culture family. In particular, picture book reading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the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 ability in interaction with other children by providing the opportunity to gradually improve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y with curiosity and confidence on integrated activity. In conclusion, it is estimated that reading picture books can play the significant roles as the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the integrated activity which can have on the improvement of language ability of children in multi-culture famil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특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실태 및 개선방안
- 반편견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
-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지역사회 활용기술에 미치는 영향
- 초등특수교육에 있어서의 협력교수 실태 및 교사의 인식
- 동요 부르기의 통합적 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어휘력 및 화용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미국의 반응중심 중재법 채택이 국내 학습장애 진단평가 정책에 주는 시사점
- ADHD 성향 아동에 대한 부모와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비교연구
-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시제 이해 및 산출 특성 비교
- 장애아 통합 및 전담 보육시설에서의 관련 서비스 실태와 실행에 관한 부모 인식 비교
- 인공와우 사용 청각장애아동의 교대운동속도
- 청각장애학생의 독서능력 신장 연구
- 일반학급 발달장애아동의 긍정적 행동 지원체계 개발을 위한 지원요소 분석
- 그림동화책 읽어주기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통합학급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리더십, 학교문화, 학교 재구조화, 통합교육 효과의 인과관계분석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공동협력을 통한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에 관한 실행연구
- 한국판 학습장애 평가척도 문항분석
- 장애유아의 교육적 통합에 대한 일반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 다운증후군아동 얼굴수술에 대한 실태 및 그 효과에 관한 조사 연구
-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 형제의 인식에 관한 연구
- 해결중심 단기상담이 정서‧행동장애 학생의 정서문제, 수업중 부적절한 행동, 공격행동 및 긍정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중앙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에 대한 특수교육관계자의 인식 및 운영방안 탐색 연구
- 특수교육 교직과목을 수강한 예비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 유치원통합교육에 대한 자폐스펙트럼 장애유아 부모의 요구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