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아 통합 및 전담 보육시설에서의 관련 서비스 실태와 실행에 관한 부모 인식 비교
이용수 0
- 영문명
- Comparison on Present Condition and Iimplementation of Related Services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Based on Parents' Perception at the Inclusive and Segregated Edu-care Setting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박은성 조윤경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2호, 273~29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아 통합 및 전담보육시설에 재원 중인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현재 자녀가 재원 중인 기관의 관련 서비스 실태를 비교해 보고, 부모의 관련 서비스의 중요도와 실행 방안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다. 통합과 전담 보육시설로 지정되어 있는 42개 보육시설에 재원하고 있는 장애아동 부모 151명(통합보육시설 73명, 전담보육시설 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 서비스의 영역 전체적으로 통합보육시설이 전담보육시설보다 유의하게 낮은 실행도를 보였다. 둘째, 장애아 보육시설에서의 관련 서비스 중요도에서 두 집단 모두 관련 서비스의 중요도를 높게 평정하였고, 전체 영역에서 통합보육시설보다 전담보육시설이 더 유의하게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셋째, 관련 서비스의 실행 방안과 관련하여 정부 부처 간 체계적인 협력체계와 정부의 재정적 지원과 재활 바우처의 확대, 서비스 결정 및 시행에서의 부모 참여와 시행 주관 기관 구축 필요성에 대해 두 집단 모두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체계적인 관련 서비스 실행을 위한 진단·평가 시행기관에 대하여 통합보육시설은 종합병원과 개인병원의 소아정신과를, 전담보육시설은 동병원의 재활의학과를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통합의 경우 장애 발견에서의 유아교사의 역할 강조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intended to compare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related services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by the families in the inclusive and segregated child care center, and to know the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methods between two groups. 73 families in the inclusive child care centers and 78 families in the segregated child care centers were particip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mplementation rate of related services in inclusive child care center was lower than the segregated, and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two groups showed the high score in the importance of related services. The segregated showed the higher than the inclusive child care center significantly. Third,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needs for systematic cooperation among the agencies, economical aids by government. But they showed the difference in the diagnosis and evaluation agencies for systematic implementation of related services. The segregated chose the rehabilitation medical department, but the inclusive liked the pediatric.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in at-risk child finding and screening, families' participation at decision making for related service, center establishment for integrated and successive implementation were also stressed.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further suggestions were discuss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특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실태 및 개선방안
- 반편견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
-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지역사회 활용기술에 미치는 영향
- 초등특수교육에 있어서의 협력교수 실태 및 교사의 인식
- 동요 부르기의 통합적 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어휘력 및 화용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미국의 반응중심 중재법 채택이 국내 학습장애 진단평가 정책에 주는 시사점
- ADHD 성향 아동에 대한 부모와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비교연구
-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시제 이해 및 산출 특성 비교
- 장애아 통합 및 전담 보육시설에서의 관련 서비스 실태와 실행에 관한 부모 인식 비교
- 인공와우 사용 청각장애아동의 교대운동속도
- 청각장애학생의 독서능력 신장 연구
- 일반학급 발달장애아동의 긍정적 행동 지원체계 개발을 위한 지원요소 분석
- 그림동화책 읽어주기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통합학급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리더십, 학교문화, 학교 재구조화, 통합교육 효과의 인과관계분석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공동협력을 통한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에 관한 실행연구
- 한국판 학습장애 평가척도 문항분석
- 장애유아의 교육적 통합에 대한 일반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 다운증후군아동 얼굴수술에 대한 실태 및 그 효과에 관한 조사 연구
-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 형제의 인식에 관한 연구
- 해결중심 단기상담이 정서‧행동장애 학생의 정서문제, 수업중 부적절한 행동, 공격행동 및 긍정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중앙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에 대한 특수교육관계자의 인식 및 운영방안 탐색 연구
- 특수교육 교직과목을 수강한 예비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 유치원통합교육에 대한 자폐스펙트럼 장애유아 부모의 요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