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특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실태 및 개선방안
이용수 0
- 영문명
- A Survey Study on the Condition and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병인 이지효 조현근 김현숙 박민정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2호, 349~37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특수교육 현장에 적합한 유아특수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운영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유아특수교육기관의 유아특수교사 351명을 대상으로 유아특수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실태, 요구, 개선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특수 교육과정은 일반유치원 교육과정을 참고하여 편성하였고 학교교육계획에 포함하여 운영하였다. 그리고 발달지체 유아의 개별적 특성에 따라 학부모와 지역사회 여건 및 실태를 부분적으로 반영하여 편성·운영하였다. 또한 편성된 유아특수 교육과정은 수업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고 있었으며, 개별화교육계획(IEP)을 편성된 교육과정의 생활영역 모두와 연계하여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특수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을 위해 발달지체 유아의 발달수준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는 교수활동 지침서가 필요하고, 유아특수 교육과정과 개별화교육계획 간의 효과적인 연계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요구하였으며, 유아특수 교육과정의 내용은 다양한 수준의 생활 및 기능 중심과 다양한 흥미 영역으로 구성할 것을 요구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특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학교(학급) 교육과정 편성의 표준이 될 수 있는 교육과정의 개발과 대상자의 특성에 적합한 교육과정 수정·적용을 위한 전문적인 자격을 갖춘 유아특수교사의 양성 및 배치, 교육과정 개발 시 가족참여의 확대, 교육과정 평가도구의 개발, 교수학습을 위한 생활영역 및 발달영역별 참고자료의 개발, 유아특수 교육과정의 수업 적용에 대한 구체적인 연수 제공 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ffective ways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the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s, i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current situations, needs, & improvement of ECSE curriculum. Subjects were consisted of 351 early childhood , the researchers teachers(144 todre) and head teachers(207 todre) in 293 early childhood , the researchers institutions. Total mean of returned surveys reached 67.2%( 69.4% for ECSE teachers and 65.7% for head teachersr headu cs were aachellows: 1) the ECSE curriculum were referred to regulardre) and h curricula and managed with Sand h Eearchers Plan considering childd windividual charactendutic,drarental prlyihepchers & community circumstances. And the ECSE curriculum was aldreed activepment class, and ist developmental areas of the curriculum, organized in conjunchers with the IEP were o trated. 2) for effectiv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the curriculum,with Sing Gesde Booksffecti thefic metndds to connect ECSE curriculum with IFS or IEP are reqesred, and isso vforreg revels of funchersal lefe and ntal ed s shreld co considered.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of the study and the suggestions are recommen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특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실태 및 개선방안
- 반편견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
-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지역사회 활용기술에 미치는 영향
- 초등특수교육에 있어서의 협력교수 실태 및 교사의 인식
- 동요 부르기의 통합적 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어휘력 및 화용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미국의 반응중심 중재법 채택이 국내 학습장애 진단평가 정책에 주는 시사점
- ADHD 성향 아동에 대한 부모와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비교연구
-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시제 이해 및 산출 특성 비교
- 장애아 통합 및 전담 보육시설에서의 관련 서비스 실태와 실행에 관한 부모 인식 비교
- 인공와우 사용 청각장애아동의 교대운동속도
- 청각장애학생의 독서능력 신장 연구
- 일반학급 발달장애아동의 긍정적 행동 지원체계 개발을 위한 지원요소 분석
- 그림동화책 읽어주기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통합학급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리더십, 학교문화, 학교 재구조화, 통합교육 효과의 인과관계분석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공동협력을 통한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에 관한 실행연구
- 한국판 학습장애 평가척도 문항분석
- 장애유아의 교육적 통합에 대한 일반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 다운증후군아동 얼굴수술에 대한 실태 및 그 효과에 관한 조사 연구
-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 형제의 인식에 관한 연구
- 해결중심 단기상담이 정서‧행동장애 학생의 정서문제, 수업중 부적절한 행동, 공격행동 및 긍정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중앙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에 대한 특수교육관계자의 인식 및 운영방안 탐색 연구
- 특수교육 교직과목을 수강한 예비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 유치원통합교육에 대한 자폐스펙트럼 장애유아 부모의 요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