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육 교직과목을 수강한 예비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이용수 0
- 영문명
- Preservice Teachers' Changing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During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Course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영선 권정민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2호, 399~41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교직 과목을 수강한 예비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다양한 학생 변인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에 대한 지표로서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 학기 동안 제공되는 특수교육 교직과목을 수강한 대학생 16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의 통합교육 및 장애에 대한 인식은 ORI 설문지를 통해 측정되었으며, 다른 예측요인들과 함께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특수교육 교직과목의 실시는 수강생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통합교육의 혜택, 통합학급의 관리 및 분리교육환경과 통합된 일반교육환경에 대한 인식의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수강생들의 사전 장애 경험, 특수교육 교직 과목의 교수-학습 경험, 특수교육 관련 지식, 그리고 장애에 대한 개인 성향이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대한 지표로서 파악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원양성 과정의 실제 및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논의와 제언이 이루어졌다: (1) 장애학생에 대한 교수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실제적 수업의 필요성, (2) 특수교육 지식 및 기술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 내용 점검 및 실시, (3) 보다 다양한 예측변인들의 심층적 분석 및 질적 연구 방법의 필요성.
영문 초록
The inclusion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general education is becoming more prevalent.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mandatory introductory special education course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inclusion and identified what personal, experiential, instructional, knowledge and dispositional factors successfully predict post-students' perceptions of inclusive practices. The sample comprises of 166 students enrolled introductory special education course in 2009.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Antonak and Larrivee(1995) was adapted and was used to measure students' opinion relative to inclusion. Students' personal, disabilities-related experiential, instructional, knowledge and dispositional variables were collected also.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sample t-test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demonstrated that (1) students' perception of inclusion improve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special education related teacher prepration course, and (2) experiential, instructional, knowledge and dispositional factors predicted students' perception about inclusion over personal predictor variables. Implications for practice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특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실태 및 개선방안
- 반편견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
-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지역사회 활용기술에 미치는 영향
- 초등특수교육에 있어서의 협력교수 실태 및 교사의 인식
- 동요 부르기의 통합적 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어휘력 및 화용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미국의 반응중심 중재법 채택이 국내 학습장애 진단평가 정책에 주는 시사점
- ADHD 성향 아동에 대한 부모와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비교연구
-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시제 이해 및 산출 특성 비교
- 장애아 통합 및 전담 보육시설에서의 관련 서비스 실태와 실행에 관한 부모 인식 비교
- 인공와우 사용 청각장애아동의 교대운동속도
- 청각장애학생의 독서능력 신장 연구
- 일반학급 발달장애아동의 긍정적 행동 지원체계 개발을 위한 지원요소 분석
- 그림동화책 읽어주기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통합학급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리더십, 학교문화, 학교 재구조화, 통합교육 효과의 인과관계분석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공동협력을 통한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에 관한 실행연구
- 한국판 학습장애 평가척도 문항분석
- 장애유아의 교육적 통합에 대한 일반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 다운증후군아동 얼굴수술에 대한 실태 및 그 효과에 관한 조사 연구
-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 형제의 인식에 관한 연구
- 해결중심 단기상담이 정서‧행동장애 학생의 정서문제, 수업중 부적절한 행동, 공격행동 및 긍정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중앙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에 대한 특수교육관계자의 인식 및 운영방안 탐색 연구
- 특수교육 교직과목을 수강한 예비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 유치원통합교육에 대한 자폐스펙트럼 장애유아 부모의 요구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