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합학급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리더십, 학교문화, 학교 재구조화, 통합교육 효과의 인과관계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The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 on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School Culture, School Restructuring, and Inclusive Education Effectivenes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조용태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2호, 31~5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통합학급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리더십, 학교문화, 학교 재구조화, 통합교육 효과의 인과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첫째, 학교장의 리더십, 학교문화, 학교 재구조화, 통합교육 효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둘째는 각 변인의 경로구조모형을 분석하였다. 셋째는 각 변인 간의 인과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교육청 제2청에 소속된 통합학급 교사 147명이다. 측정도구는 모든 변인의 속성을 파악하기 위해 5점 척도의 평정척도로 구성된 것이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단순상관관계 분석, 공변량구조분석, 최대우도법, 경로분석이 적용되었다. 연구 결과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리더십, 학교문화, 학교 재구조화, 통합교육 효과는 상호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장의 리더십은 새로운 학교문화를 창출하는데 영향을 주고, 새 학교문화는 학교를 재구조화하는데 영향을 주는 영향력 있는 요소이며, 결과적으로 통합교육의 효과를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변인 간 인과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교장의 리더십은 학교문화와 학교 재구조화에 직접효과가, 통합교육 효과에 대해서는 학교문화를 통한 간접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학교문화는 학교 재구조화와 통합교육 효과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d the causal relations on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school culture, school restructuring, and inclusive education effectiveness as perceived inclusive classroom teacher. The specified goal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was analyzed the correlation among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school culture, school restructuring, and inclusive education effectiveness. Second, was analyzed the causal relations models among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school culture, school restructuring, and inclusive education effectiveness. Third, was analyzed the causal effects among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school culture, school restructuring, and inclusive education effectivenes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a simple random sampling of 147 teachers of inclusive classroom in elementary school. Measure instruments used in this research were five rating scale: Leadership, School Culture, School restructuring, and Inclusive Education Effectiveness.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in this research were Pearson' simple correlation,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 and path analysis with AMOS 5.0 program.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First,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school culture, school restructuring, and inclusive education effectiveness showed a mutual correlation. Second,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are important variables to explaining school culture and school restructuring. And school culture was important variable to explaining inclusive education effectiveness. Third, more school culture than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and school restructuring had causal effects on inclusive education effectiven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특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실태 및 개선방안
- 반편견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
-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지역사회 활용기술에 미치는 영향
- 초등특수교육에 있어서의 협력교수 실태 및 교사의 인식
- 동요 부르기의 통합적 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어휘력 및 화용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미국의 반응중심 중재법 채택이 국내 학습장애 진단평가 정책에 주는 시사점
- ADHD 성향 아동에 대한 부모와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비교연구
-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시제 이해 및 산출 특성 비교
- 장애아 통합 및 전담 보육시설에서의 관련 서비스 실태와 실행에 관한 부모 인식 비교
- 인공와우 사용 청각장애아동의 교대운동속도
- 청각장애학생의 독서능력 신장 연구
- 일반학급 발달장애아동의 긍정적 행동 지원체계 개발을 위한 지원요소 분석
- 그림동화책 읽어주기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통합학급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리더십, 학교문화, 학교 재구조화, 통합교육 효과의 인과관계분석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공동협력을 통한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에 관한 실행연구
- 한국판 학습장애 평가척도 문항분석
- 장애유아의 교육적 통합에 대한 일반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 다운증후군아동 얼굴수술에 대한 실태 및 그 효과에 관한 조사 연구
-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 형제의 인식에 관한 연구
- 해결중심 단기상담이 정서‧행동장애 학생의 정서문제, 수업중 부적절한 행동, 공격행동 및 긍정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중앙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에 대한 특수교육관계자의 인식 및 운영방안 탐색 연구
- 특수교육 교직과목을 수강한 예비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 유치원통합교육에 대한 자폐스펙트럼 장애유아 부모의 요구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