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의 반응중심 중재법 채택이 국내 학습장애 진단평가 정책에 주는 시사점
이용수 0
- 영문명
- Implication of 'Response to Intervention of IDEA' for the identification policy making of learning disabilitie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정대영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2호, 53~7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습장애의 진단평가는 미국의 IDEA 2004에서 불일치법의 대안으로 반응중심의 중재법을 채택함으로써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반응중심 중재법은 국가교육의 경쟁력 제고 정책과 더불어 일반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며, 나아가 학습장애의 진단평가 방법으로 실험적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국내의 특수교육 및 일반교육 환경이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학습장애의 진단평가 방법으로 반응중심 중재법을 도입하여 정착시킬 것인지를 결정해야 할 중요한 시점을 맞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논문은 반응중심 중재법의 법적 및 정책적 근거, 의의와 원리, 개념적 모형을 고찰하고, 국내 학습장애 진단평가 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사점으로 실시의 근거 마련, 반응중심 중재법에 대한 이해와 실행을 위한 구체적 방법의 이해,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협력적 접근, 국가 및 시도 차원의 표준 학력 기준 마련, 국내 교육환경에 적합한 모형과 단계의 개발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Although RTI is a general education-based mechanism for monitoring students progress, it can also be used as part of special education decision making. The field of learning disabilities has been faced new era since U. S. IDEA 2004 adopted response to intervention(RTI) instead of discrepancy model for identific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Application of RTI has been expande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general education with upgrade policy of national education competition. The national environment of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has been changing in keeping step with international education policy, it is very important time to decide whether to introduce RTI for identifying learning disabilities and improving the qualities of general education. The present paper review the legislative bases, meaning, principle and conceptual model of RTI, and look for the implication of RTI for the identification policy making of learning disabilitie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needs to understand correctly the intend and purpose of RTI. Second, the components of RTI should be legislated in related law. Third, achievement standard of national and province level have to be developed. Fourth, considering domestic educational and cultural environment, it needs to optical model and practical procedures of RTI.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반응중심 중재법의 법적 및 정책적 근거
Ⅲ. 반응중심 중재법의 의의와 원리
Ⅳ. 반응중심 중재법의 일반 모형과 기능
Ⅴ. 국내 학습장애 진단평가 정책 수립에 주는 시사점
Ⅵ. 맺는 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특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실태 및 개선방안
- 반편견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
-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지역사회 활용기술에 미치는 영향
- 초등특수교육에 있어서의 협력교수 실태 및 교사의 인식
- 동요 부르기의 통합적 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어휘력 및 화용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미국의 반응중심 중재법 채택이 국내 학습장애 진단평가 정책에 주는 시사점
- ADHD 성향 아동에 대한 부모와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비교연구
-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시제 이해 및 산출 특성 비교
- 장애아 통합 및 전담 보육시설에서의 관련 서비스 실태와 실행에 관한 부모 인식 비교
- 인공와우 사용 청각장애아동의 교대운동속도
- 청각장애학생의 독서능력 신장 연구
- 일반학급 발달장애아동의 긍정적 행동 지원체계 개발을 위한 지원요소 분석
- 그림동화책 읽어주기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통합학급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리더십, 학교문화, 학교 재구조화, 통합교육 효과의 인과관계분석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공동협력을 통한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에 관한 실행연구
- 한국판 학습장애 평가척도 문항분석
- 장애유아의 교육적 통합에 대한 일반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 다운증후군아동 얼굴수술에 대한 실태 및 그 효과에 관한 조사 연구
-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 형제의 인식에 관한 연구
- 해결중심 단기상담이 정서‧행동장애 학생의 정서문제, 수업중 부적절한 행동, 공격행동 및 긍정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중앙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에 대한 특수교육관계자의 인식 및 운영방안 탐색 연구
- 특수교육 교직과목을 수강한 예비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 유치원통합교육에 대한 자폐스펙트럼 장애유아 부모의 요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