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공동협력을 통한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에 관한 실행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ction Research on Access to Gener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The story of collaborative effort of elementary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은주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2호, 1~2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장애아동의 일반교육과정에 접근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부터 출발한 실행연구이다. 특수교사와 일반교사는 공동협력을 통하여 장애학생의 통합학급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개별화교육계획을 개발하여 실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2학년, 4학년, 6학년 장애학생과 각각의 담임교사 그리고 특수교사였다. 실행결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의 교육목표 도달정도를 평가하였으며, 수업시간에 교사의 진술이나 질문에 대한 장애학생의 반응, 급우들의 질문이나 진술에 대한 반응, 그리고 장애학생의 반응양태를 한 학기에 걸쳐서 관찰, 기록, 분석하였다. 실행과정을 살펴보기 위하여 교사들의 공동협력모임을 관찰하고 기록하고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교사들의 공동협력을 통한 장애학생에 대한 지원은 연구에 참여한 모든 학생들에게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참여한 교사들은 실행연구 과정에서 통합학급의 수업과 교육과정에 대하여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으며, 통합학급의 수업에 대한 책무성에 대해 이해하게 되면서 통합학급을 담당하는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확인하기도 하였다. 실행의 전 과정에 걸쳐 “공동협력”의 중요성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으며 성공적인 통합교육은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공동협력이 필수적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n action research on access to gener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The problem was that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inclusive classrooms experience difficulties in participating in general curriculum. To solve this problem, action research was implemented. The actions include IEP development that leads to access to general curriculum in inclusive classroom, instructional adaptations, universal designed lesson, and curriculum modification. The action leads to success access to gener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inclusive classroom. These action plan were created based on collaborative work of special and elementary education teachers. In the process of this action research, teacher participants became to reconstruct the concept of “access to general curriculum,” became to identify themselves as inclusive practicianers and also became to understand themselves as the individual who takes responsibilities for inclusive classrooms.
목차
Ⅰ.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Ⅱ. 연구방법
Ⅲ. 실행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특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실태 및 개선방안
- 반편견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
-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지역사회 활용기술에 미치는 영향
- 초등특수교육에 있어서의 협력교수 실태 및 교사의 인식
- 동요 부르기의 통합적 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어휘력 및 화용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미국의 반응중심 중재법 채택이 국내 학습장애 진단평가 정책에 주는 시사점
- ADHD 성향 아동에 대한 부모와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비교연구
-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시제 이해 및 산출 특성 비교
- 장애아 통합 및 전담 보육시설에서의 관련 서비스 실태와 실행에 관한 부모 인식 비교
- 인공와우 사용 청각장애아동의 교대운동속도
- 청각장애학생의 독서능력 신장 연구
- 일반학급 발달장애아동의 긍정적 행동 지원체계 개발을 위한 지원요소 분석
- 그림동화책 읽어주기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통합학급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리더십, 학교문화, 학교 재구조화, 통합교육 효과의 인과관계분석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공동협력을 통한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에 관한 실행연구
- 한국판 학습장애 평가척도 문항분석
- 장애유아의 교육적 통합에 대한 일반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 다운증후군아동 얼굴수술에 대한 실태 및 그 효과에 관한 조사 연구
-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 형제의 인식에 관한 연구
- 해결중심 단기상담이 정서‧행동장애 학생의 정서문제, 수업중 부적절한 행동, 공격행동 및 긍정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중앙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에 대한 특수교육관계자의 인식 및 운영방안 탐색 연구
- 특수교육 교직과목을 수강한 예비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 유치원통합교육에 대한 자폐스펙트럼 장애유아 부모의 요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