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판 학습장애 평가척도 문항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Rasch Rating Modeling of the Korean version of Learning Disability Evaluation Scale of Risk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y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박은영 이옥인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2호, 149~16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판 학습장애 평가척도 7개요인 88문항에 대해 라쉬 모형을 적용한 문항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항분석은 문항의 적합도, 난이도, 평정척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04명의 학습장애 위험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판 학습장애 평가척도를 이용하여 조사한 자료에 대해 문항반응이론에 기초한 라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한국판 학습장애 평가척도는 총 88개 문항 중 7개 문항이 적합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문항은 삭제 및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항의 난이도 분석 결과 6개 문항이 피험자의 능력을 적절히 변별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험자의 능력분포에 해당하는 문항이 없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나 문항의 난이도에 대한 고려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척도 분석결과 응답범주는 한국판 학습장애 평가척도의 3점 척도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학습장애 위험 아동을 대상으로 문항반응이론에 근거한 라쉬 분석을 통해, 한국판 학습장애 평가 척도 개별 문항에 대한 문항적합도와 난이도, 평정 척도의 분석을 라쉬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item appropriateness, the level of item difficulty, and appropriateness of rating scale through applying Rasch model to the Korean version of Learning Disability Evaluation Scale of risk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y consisted of 88 items of 7 factors. For this, survey data of 104 risk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y was used for analysis of Rasch based on the item response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ppropriateness item function indicated the 7 items were detected as non-appropriateness item of risk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y. Second, the results of difficulty level item function indicated the 6 items were detected as non-differential item of risk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y. Third, 3-point rating scale was appropriate for independent performance factor. This study focused on identify the appropriateness, difficulty level, and rating scale of items of Korean version of Learning Disability Evaluation Scale through Rasch modeling in risk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y.
목차
Ⅰ. 서론
Ⅱ.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특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실태 및 개선방안
- 반편견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
-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지역사회 활용기술에 미치는 영향
- 초등특수교육에 있어서의 협력교수 실태 및 교사의 인식
- 동요 부르기의 통합적 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어휘력 및 화용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미국의 반응중심 중재법 채택이 국내 학습장애 진단평가 정책에 주는 시사점
- ADHD 성향 아동에 대한 부모와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비교연구
-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시제 이해 및 산출 특성 비교
- 장애아 통합 및 전담 보육시설에서의 관련 서비스 실태와 실행에 관한 부모 인식 비교
- 인공와우 사용 청각장애아동의 교대운동속도
- 청각장애학생의 독서능력 신장 연구
- 일반학급 발달장애아동의 긍정적 행동 지원체계 개발을 위한 지원요소 분석
- 그림동화책 읽어주기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통합학급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리더십, 학교문화, 학교 재구조화, 통합교육 효과의 인과관계분석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공동협력을 통한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에 관한 실행연구
- 한국판 학습장애 평가척도 문항분석
- 장애유아의 교육적 통합에 대한 일반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 다운증후군아동 얼굴수술에 대한 실태 및 그 효과에 관한 조사 연구
-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 형제의 인식에 관한 연구
- 해결중심 단기상담이 정서‧행동장애 학생의 정서문제, 수업중 부적절한 행동, 공격행동 및 긍정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중앙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에 대한 특수교육관계자의 인식 및 운영방안 탐색 연구
- 특수교육 교직과목을 수강한 예비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 유치원통합교육에 대한 자폐스펙트럼 장애유아 부모의 요구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