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유아의 교육적 통합에 대한 일반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and Execution of General Kindergarten Teachers for Educational Inclus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오혜정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2호, 213~23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일반유치원에서 통합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일반유치원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적 통합에 대한 인식과 실행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통합학급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일반유치원 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질적 분석을 통해 연구문제와 관련된 2개의 주제와 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면담자료 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통합교육 정의에 대해 물리적 통합교육을 가장 많이 언급하고 있었고, 교육적 통합의 중요성을 알고 있으나 실행정도는 물리적 통합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적 통합에 대한 참여자들의 인식에 대해 개별화교육의 실행이 교육적 통합을 실행하는 방법인 것으로 알고 있었으나, 교육적 통합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적 접근과 내용들에 대해서는 정확히 인식하고 있지 못 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질적으로 향상된 교육적 통합 실행을 위한 역할로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간의 협력과 더불어 교사의 자질을 언급했으며, 이를 위해서는 교육기관과 기관장의 지원, 국가적 지원의 확대, 교육적 통합에 대한 다양한 교사 연수와 대학교 교육과정의 개설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know the perception and execution on inclusive education and educational inclusion of general kindergarten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inclusive classes in general kindergartens. In-depth interviews for six teachers of general kindergarten who have been in charge of inclusive classes were don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wo subjects and 6 sub-categories related to this study were drawn up through a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the analysis of interviewed materials,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mentioned the physical inclusive education most for the definition of inclusive education, and they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social and educational inclusion, but they just execute their education within the context of physical inclusive education. As for the recognition of the participants for educational inclusion, they acknowledged that individualized education is a good way for the execution of educational inclusion, but they still didn't know about the specific methodology and contents for educational inclusion exactly. For the role of qualitative execution for educational i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cooperation between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cluding their quality is important, and they were in mutual agreement that the support of educational institution and government, the introduction of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for teachers, and curriculum developments at university level are needed for educational inclus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특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실태 및 개선방안
- 반편견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
-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지역사회 활용기술에 미치는 영향
- 초등특수교육에 있어서의 협력교수 실태 및 교사의 인식
- 동요 부르기의 통합적 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어휘력 및 화용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미국의 반응중심 중재법 채택이 국내 학습장애 진단평가 정책에 주는 시사점
- ADHD 성향 아동에 대한 부모와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비교연구
-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시제 이해 및 산출 특성 비교
- 장애아 통합 및 전담 보육시설에서의 관련 서비스 실태와 실행에 관한 부모 인식 비교
- 인공와우 사용 청각장애아동의 교대운동속도
- 청각장애학생의 독서능력 신장 연구
- 일반학급 발달장애아동의 긍정적 행동 지원체계 개발을 위한 지원요소 분석
- 그림동화책 읽어주기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통합학급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리더십, 학교문화, 학교 재구조화, 통합교육 효과의 인과관계분석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공동협력을 통한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에 관한 실행연구
- 한국판 학습장애 평가척도 문항분석
- 장애유아의 교육적 통합에 대한 일반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 다운증후군아동 얼굴수술에 대한 실태 및 그 효과에 관한 조사 연구
-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 형제의 인식에 관한 연구
- 해결중심 단기상담이 정서‧행동장애 학생의 정서문제, 수업중 부적절한 행동, 공격행동 및 긍정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중앙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에 대한 특수교육관계자의 인식 및 운영방안 탐색 연구
- 특수교육 교직과목을 수강한 예비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 유치원통합교육에 대한 자폐스펙트럼 장애유아 부모의 요구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