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결중심 단기상담이 정서‧행동장애 학생의 정서문제, 수업중 부적절한 행동, 공격행동 및 긍정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Solution-Focused Brief Counseling on the Emotional Problems, Off-task and Disruptive Behaviors, and Positive Social Interactions of Student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서유진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2호, 377~39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통합교육 환경에서 정서‧행동장애 학생의 정서, 행동, 사회적 영역에서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한 학교상담 제공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교육 환경에서 정서‧행동장애 학생의 정서, 행동,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해결중심 단기상담을 계획하여 제공하였다. 상담은 총 15주 동안 15회기에 걸쳐 제공되었고, 기초선-중재-유지의 연구절차를 적용하여 상담의 효과성과 효과의 유지 정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우울/불안, 공격성, 위축, 정서적 불안 등의 정서적인 문제는 상담이 제공된 후 크게 감소되었다. 둘째, 학생의 수업 중 부적절한 행동문제와 공격적인 행동문제의 횟수는 상담이 제공되면서 점차 감소되었고, 감소된 부적절한 행동문제와 공격적인 행동문제 횟수는 상담이 종결된 지 5주 후인 유지기간 동안에도 그대로 유지되어 다시 증가되지 않았다. 셋째, 학생의 또래와의 긍정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은 상담이 제공되면서 점차 증가하였지만, 증가된 또래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 횟수는 상담이 종결된 지 5주 후인 유지기간 동안에 그대로 유지되지 못하고, 조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장애학생을 위한 상담이 통합학교 내에서의 실제적으로 활성화되고,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과 추후 상담연구를 위한 제언 등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e importance of provision of counseling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in inclusive settings has been emphasized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this vein, this study planed and provided the solution-focused brief counseling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who was having difficulties with adjusting to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due to his emotional problems, off-task and disruptive behaviors, and lack of positive social interactions with his peers. A total of 15 counseling sessions were provided for 15 weeks and the single subject design with baseline-intervention-maintenance sessions was used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uns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ent' emotional problems such as depression/anxiety, disruptiveness, and withdrawal were decreased. Second, the number of the student' off-task and disruptive behavior problems was gradually decreased and maintained during the maintenance phase. Third, the number of positive social interactions with his peers was gradually increased but was not maintained during the maintenance phase. Various methods to effectively provide counsel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and research directions for future counseling studi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특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실태 및 개선방안
- 반편견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
-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지역사회 활용기술에 미치는 영향
- 초등특수교육에 있어서의 협력교수 실태 및 교사의 인식
- 동요 부르기의 통합적 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어휘력 및 화용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미국의 반응중심 중재법 채택이 국내 학습장애 진단평가 정책에 주는 시사점
- ADHD 성향 아동에 대한 부모와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비교연구
-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시제 이해 및 산출 특성 비교
- 장애아 통합 및 전담 보육시설에서의 관련 서비스 실태와 실행에 관한 부모 인식 비교
- 인공와우 사용 청각장애아동의 교대운동속도
- 청각장애학생의 독서능력 신장 연구
- 일반학급 발달장애아동의 긍정적 행동 지원체계 개발을 위한 지원요소 분석
- 그림동화책 읽어주기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통합학급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리더십, 학교문화, 학교 재구조화, 통합교육 효과의 인과관계분석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공동협력을 통한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에 관한 실행연구
- 한국판 학습장애 평가척도 문항분석
- 장애유아의 교육적 통합에 대한 일반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 다운증후군아동 얼굴수술에 대한 실태 및 그 효과에 관한 조사 연구
-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 형제의 인식에 관한 연구
- 해결중심 단기상담이 정서‧행동장애 학생의 정서문제, 수업중 부적절한 행동, 공격행동 및 긍정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중앙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에 대한 특수교육관계자의 인식 및 운영방안 탐색 연구
- 특수교육 교직과목을 수강한 예비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 유치원통합교육에 대한 자폐스펙트럼 장애유아 부모의 요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