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도 경제성장에 대한 분석

이용수  2

영문명
The Analysis of Indian Economic Growth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이성량(Sung-Ryang Lee)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10권 제3호, 689~71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11.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인도의 평균 경제 성장률이 1991년 경제 개혁 이후 높아진 것의 가장 큰 요인은 세계화(globalization)의 특징인 정보기술의 발달과 글로벌 아웃소싱의 결합으로 이루어졌다. 대내적으로 거대한 내수 시장, 정부의 자유화 정책, 공기업의 민영화 등을 통한 정부의 역할을 축소한 것도 인도 경제 성장에 기여 하였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해외에서 쇄도하는 정보기술의 글로벌 아웃소싱 수요가 인도 경제를 과거의 성장률에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게 함으로써 과거 보다 높은 성장을 주도할 수 있게 한 원동력(engine of growth)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즉 풍부한 양질의 엔지니어, 영어가 가능한 노동인력 등이 세계의 정보기술 수요를 충족시킴으로써 인도는 경제 개혁 이전에 비해서 높은 경제성장을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인도의 거대한 내수 시장과 정부의 개혁에 더하여 글로벌 아웃소싱의 현상을 초래한 세계화 현상이 인도 경제를 가일층 성장시킨 중요한 촉매 역할은 했다는 것이다. 대내외적으로 인도의 개혁․개방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도 많이 남아 있다. 일례로 개혁과 자유화 정책을 실현했던 BJP당이 2004년 선거에서 패배한 것은 아직 대다수의 인도 국민들이 경제성장의 혜택을 실감하지 못하는 방증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도 경제성장의 꾸준한 발전을 위해서는 개방과 자유화 정책이 지속 되어야 한다. 인도가 현재 보다 향상된 성장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정보기술 중심의 서비스업 성장과 더불어서 제조업과 농업의 성장 제고가 있어야한다. 제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인도 정부가 기초 교육의 강화를 통해 일반 노동력의 질적 수준을 중국과 같은 국가들의 수준으로 끌어 올려야 할 것이다. 또한 인도는 나름대로 기술 집약적인 산업에 있어 잠재력이 풍부하기 때문에 기반시설의 확충이 가시화 되면 기술집약적 제조업 분야에서 도약의 계기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농업은 인도인구의 70%가 종사하는 분야이지만 가장 폐쇄적이고 성장률이 낮은 분야이기 때문에 농업시장의 개방으로 인한 자연스러운 구조조정이 오히려 인도 농업 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영문 초록

Recent high economic growth of India can be attributed to many factors. Economic reforms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1991 have set up systemic reforms which laid the foundation for the Indian economy to be more open, market based, and free from government interventions. Globalization, which intensified in the 1990s,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explaining the difference in economic growth rates between the pre-reform and post-reform periods. India, which has strong engineering and technology sectors, is able to accomodate worldwide demand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global outsourcing. The rapid growth of service industry that has been the main engine of India’s economic growth is due to global outsourcing. In spite of more open market approach and reforms, India needs to intensify liberalization of the economy and increase investments in infrastructure. India is still behind in terms of openness, FDI inflows, public deficits, basic education, and market based reforms compared to other developing countries, especially countries from Asia. The manufacturing sector requires higher growth to supplement high growth in the service sector. The Indian agricultural sector employs 70% of the Indian labor and is very inefficient. Thus, agricultural reforms are a must for the Indian economy's longer term prosperity. Opening the agricultural sector should raise efficiency and will contribute to upgrading current high economic growth.

목차

Ⅰ. 서론
Ⅱ. 인도의 경제상황
Ⅲ. 인도 경제성장의 요인 분석
Ⅳ. 인도 경제성장의 과제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량(Sung-Ryang Lee) . (2006).인도 경제성장에 대한 분석. 국제지역연구, 10 (3), 689-712

MLA

이성량(Sung-Ryang Lee) . "인도 경제성장에 대한 분석." 국제지역연구, 10.3(2006): 689-7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