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교재 대화문의 인접쌍과 담화 특성 분석 - 문의하기 기능을 중심으로

이용수  6

영문명
An Analysis of Adjacency Pairs and Discourse Features in Korean Textbook Dialogues: Focusing on the Function of Inquiry
발행기관
한국어교육연구학회
저자명
박평화(Pyeonghwa Bak) 김서홍(Seo-hong Kim)
간행물 정보
『한국어 교육 연구』제25호, 119~157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듣기·말하기 대화문이 실제적 상호작용을 얼마나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재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최근 10년 이내에 출판된 한국어 교재 5종(총 20권)에 수록된 대화문 3,847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체 대화문의 약 89.7%가 ‘질문-대답’인접쌍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요청-수락/거절’, ‘비난-거부/인정’유형의 인접쌍은 5% 미만으로 나타났다. 특히 ‘질문-대답’인접쌍은 듣기 대화문에서는 초급에서 중급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말하기 대화문에서는 소폭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교재 간 특성의 차이도 존재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질문-대답’인접쌍의 핵심 담화 기능을 ‘문의하기’로 간주하고 발화순서 교체, 대화이동 연속체, 맞장구, 내용적 실제성을 기준으로 교재 대화문과 실제 담화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재 대화문은 발화 흐름의 유연성, 청자 반응의 적절성, 상호작용적 구조, 맥락적 개연성 측면에서 실제 구어 담화와 차이를 보였고 발화의 수정, 반복과 같은 자연스러운 반응 역시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음이 드러났다. 학습자의 실질적인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교재 대화문이 실제 구어 담화의 상호작용성과 맥락성을 보다 충실히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실제 담화를 기반으로 한 대화문 구성 원칙을 제안하고 실용적인 교재 개발을 위한 방향성을 제공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authentically Korean language textbooks reflect real-life conversational interaction, particularly in the listening and speaking dialogue sections. A total of 3,847 dialogues were analyzed from 20 volumes across five Korean language textbook series published within the last ten years. The analysis revealed that approximately 89.7% of all dialogues were structured around the “question-answer” adjacency pair, while interaction types such as “request-acceptance/refusal” and “accusation-denial/acknowledgment” accounted for less than 5%. Notably, the frequency of question-answer structures declined in listening dialogues as textbook levels progressed from beginner to intermediate, whereas a slight increase was observed in speaking dialogues, with variability across textbooks. Taking “inquiry” as the core discourse function of the question-answer pair, the study evaluated the differences between textbook dialogues and authentic discourse using criteria such as turn-taking flexibility, discourse progression, backchanneling, and content-based authenticity. Findings indicated that textbook dialogues lacked features common in natural spoken discourse, such as adaptive turn-taking, contextually appropriate listener responses, interactive structure, and pragmatic coherence. Furthermore, natural spoken phenomena like self-repair and repetition were underrepresent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o enhance learners’ communicative competence, Korean language textbooks should more faithfully reflect the interactive and contextual nature of real-life spoken discourse. The study proposes principles for constructing dialogue content based on authentic conversation and offers practical guidance for more effective textbook development.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한국어 교재 대화문의 인접쌍 분석
4. 한국어 교재 ‘문의하기’ 대화문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평화(Pyeonghwa Bak),김서홍(Seo-hong Kim). (2025).한국어 교재 대화문의 인접쌍과 담화 특성 분석 - 문의하기 기능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 연구, (), 119-157

MLA

박평화(Pyeonghwa Bak),김서홍(Seo-hong Kim). "한국어 교재 대화문의 인접쌍과 담화 특성 분석 - 문의하기 기능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 연구, (2025): 119-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