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기반 이민자 언어교육에서 문법 교수 전략 실현 양상 - 형태초점접근(FFI) 관점에서 호주 AMEP, 일본 Tsunahiro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3
- 영문명
- Grammar Teaching Strategies in Digital-Based Immigrant Language Education: Focus on Form Instruction in AMEP and Tsunahiro
- 발행기관
- 한국어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김참이(Charmye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어 교육 연구』제25호, 27~5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 디지털 기반 이민자 언어교육에서 문법 교수 전략의 실현 양상을 형태초점접근(FFI) 관점에서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이민자 대상 한국어교육에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호주의 AMEP와 일본의 Tsunahiro에 대해 교육 목표, 내용 구성, 운영 방식 등을 검토하고 특히, 형태초점접근(FFI) 전략이 디지털 학습 환경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 분석하였다. AMEP는 초급 단계에서 암묵적인 입력 강화와 입력 처리 유도를, 중급 이상 단계에서는 명시적 규칙 설명과 시각적 입력 강화를 활용하는 문법 교수 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Tsunahiro는 실제 생활 장면 영상을 통한 입력 홍수 및 입력 강화의 방법으로 다국어 스크립트와 명시적 문형 설명을 통해 형태-의미 연결 및 문화적 배경 지식까지 통합적으로 제시하였다.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민자 대상 언어교육은 단순 시험 대비에서 벗어나 실생활 의사소통 능력을 강화하는 방향의 문법 교육이 필요하며 FFI 기반 입력 전략은 디지털 교육 상황에서 효과가 증대될 것으로 보인다. 둘째, AMEP의 직업·사회 참여 연계형 교육은 이민자의 취업과 직결되어 학습 동기와 지속성을 강화하므로, 한국어교육에서도 직종별 요구분석에 기반한 직업 연계형 교육 모듈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지방 거주 비율이 높고 학습 단절 가능성이 큰 이민자의 특성을 고려할 때, AMEP와 Tsunahiro의 디지털 학습 구조는 학습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민자를 위한 디지털 학습 인프라 확충, 학습 이력 관리, 유연한 학습 재참여 등의 시스템과 제도적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이민자의 실제적 언어 사용 능력과 사회 참여 역량을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alization of grammar teaching strategies in overseas digital-based immigrant languag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Focus on Form Instruction (FFI) an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mmigrants. Specifically, the study selected Australia’s Adult Migration English Program (AMEP) and Japan’s Tsunahiro program, reviewing their educational objectives, content structures, and operational methods, with a particular focus on how FFI strategies are implemented in digital learning environments. In AMEP, implicit methods such as input enhancement and input processing are employed at the beginner level, while explicit rule explanation and visual input enhancement are utilized at intermediate and higher levels. Tsunahiro provides input flood and input enhancement through real-life scene videos, offering multilingual scripts and explicit sentence pattern explanations that integrate form-meaning connections with 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The findings suggest three key implications: First, immigrant language education should shift from test-oriented instruction to grammar education that strengthens real-life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FFI-based input strategies are likely to be more effective in digital learning contexts. Second, AMEP’s job- and social-participation-linked curriculum directly supports immigrant employment, thereby enhancing learning motivation and persistence; accordingly,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develop job-specific modules based on occupational needs analysis. Third, given the high proportion of immigrants residing in rural areas and the risk of learning discontinuity, the digital learning structures of AMEP and Tsunahiro offer viable alternatives for ensuring learning continuity. Expanding digital learning infrastructure, managing learning histories, and establishing flexible re-engagement systems could enhance immigrants’ practical language use and social participation capabiliti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디지털 기반 해외 이민자 언어교육 사례
4. 형태초점접근(FFI) 관점에서 본 문법 교수 전략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육 연구 제25호 목차
- 디지털 기반 이민자 언어교육에서 문법 교수 전략 실현 양상 - 형태초점접근(FFI) 관점에서 호주 AMEP, 일본 Tsunahiro 사례를 중심으로
-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의 지시 화행 제시 양상 연구 - 조선어 연수 기관의 회화 교재를 중심으로
- 결혼이민자 대상 TOPIK 말하기 오류의 주제 분석과 교육 방안 개선 연구
- 한국어 교재 대화문의 인접쌍과 담화 특성 분석 - 문의하기 기능을 중심으로
- 유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을 위한 ‘PITR’ 기반 집단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한국어교육에서 오류 기반 교수 전략 체계 - 베트남어권 오류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학 한국어교육 종사자의 프레카리아트화 고찰
- 지각된 위협인식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다문화교육의 조절효과 검증
- 한국어학과 ‘한국어+ X’ 인재 양성 모델로의 전환 연구 - 중국 치치하얼대학교를 중심으로
- 직업 목적 한국어교육의 학습자 유형에 따른 교육 현황 고찰
- 한국어 논문 표현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 북한의 조선어 교재 『조선어배우기(러시아어판)』 분석
- 생성형 AI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 - 베트남 학습자를 중심으로
- 심층 인터뷰를 통한 동남아시아 지역 한국어교육 현황 연구 -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 독일 한국학 전공자를 위한 한자 교육의 방향과 교수 방안 고찰
- 19세기 한국어 교재 『Fifty Helps』의 문법·표현 분석 - ‘2017년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4단계)’를 기준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在日中国女性形象的话语建构研究 - 以≪朝日新闻≫和≪读卖新闻≫为例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