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國際中文敎育中文水平等級標準』에 기반한 중국어 교재 문법 항목 적절성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the Appropriateness of Grammar Items in Chinese Textbooks Based on Chinese Proficiency Grading Standards for International Chinese Language Education
발행기관
중국인문학회
저자명
이창민(CHANG-MIN LEE)
간행물 정보
『중국인문과학 』제90집, 29~5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제 중국어 교육의 통일된 표준인 『國際中文敎育中文水平等級標準』(이하 『等級標準』)에 대한 중국어 교재의 문법 항목 적절성을 분석하였다. 중국에서 출판된 A교재와 국내 편찬 B교재를 대상으로 문법 범주 설정, 등급별 포괄 상황, 항목 배열양상을 중심으로 비교·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두 교재 모두 『等級標準』(총 572개) 대비 현저히 적은 수의 문법 항목(A교재 315개, B교재 280개)을 포함했으며, 특히 ‘형 태소’와 ‘문단’ 범주를 포함하지 않는 등 문법 범주 설정이 제한적이었다. 등급별 포괄 상황을 살펴보면, 초급 단계 정합성은 높았으나 중급 및 고급 단계로 갈수록 정합성이 크게 약화되어, 고급 단계에서 A교재 39.2%, B교재 45%가 『等級標準』에 미수록된 항목으로 나타났다. 문법 항목 배열에서는 A교재가 특정 과에 문법 항목을집중 배치하여 학습 부담을 가중시켰고, B교재는 ‘把자문’ 등 주요 항목의 적용 범위와 유형이 부족했다. 이러한 교재 간 차이는 단순히 오류가 아니라, 교재 편찬 기준의 본질적 차이에서 기인한다. A교재는 중국 표준을 반영하는 반면, B교재는 한국학습자의 실용성 및 회화 중심 요구를 우선시했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grammar items in two representative Chinese language textbooks, Textbook A (『漢語敎程』) and Textbook B (『중국어 마스터』), against the Chinese Textbooks Based on Chinese Proficiency Grading Standards for International Chinese Language Education, (『國際中文教育中文水平等級標準』, hereafter 『Grading Criteria』). The research specifically examines the conformity of grammar categories, coverage across levels, and arrangement of grammar items in the textbooks. The findings reveal several key aspects. Firstly, both textbooks include significantly fewer grammar items than the 572 required by 『Grading Criteria』. Secondly, both textbooks exhibit restricted coverage in grammar categories, notably omitting ‘morpheme’ and ‘discourse’ categories found in 『Grading Criteria』and offering only fragmented classifications for 'phrase' and 'sentence components'. Thirdly, while both textbooks show high consistency with 『Grading Criteria』 in the elementary stage, this alignment weakens considerably in higher levels. Fourthly, issues were found in grammar item arrangement; for instance, Textbook A concentrates complex structures like ‘把(bǎ) sentences’ and ‘comparison sentences’ in specific lessons, potentially increasing learning burden. Textbook B showed insufficient scope and types for key structures such as '把 (bǎ) sentences' and 'passive sentences'. Therefore, future domestic textbook development should strive for a balance between securing consistency with 『Grading Criteria』 and adopting a learner-centered approach aligned with educational realities. This includes systematically reorganizing grammar items according to each level's standards, and carefully evaluating the educational validity and usage frequency of items not included in the standard before adoption.

목차

Ⅰ. 서론
Ⅱ. 『等級標準』과 중국어 교재의 문법체제 고찰
Ⅲ. 중국어 교재와 『等級標準』 문법 항목의 정합성 분석
Ⅳ. 결론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창민(CHANG-MIN LEE). (2025).『國際中文敎育中文水平等級標準』에 기반한 중국어 교재 문법 항목 적절성 분석. 중국인문과학 , (), 29-58

MLA

이창민(CHANG-MIN LEE). "『國際中文敎育中文水平等級標準』에 기반한 중국어 교재 문법 항목 적절성 분석." 중국인문과학 , (2025): 29-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