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Use of Directive Speech Act in KFL(in DPRK)
- 발행기관
- 한국어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김한근(Hangeu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어 교육 연구』제25호, 57~8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학습자 대상의 조선어교육을 이해하기 위해 조선어 교재에서 지시 화행의 양상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조선어 교재를 분석 대상으로 삼고 숙달도 수준에 따라 지시 발화 행위의 유형과 전략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지시 화행의 유형은 ‘제안’, ‘요구’, ‘명령’, ‘부탁’, ‘권고’, ‘제의’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명령’, ‘권고’처럼 청자의 행위에 대한 요구 정도가 강한 발화가 많이 등장한 것은 북한의 언어관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지시 화행 전략의 출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 직접적 단계와 간접적 단계의 빈도는 비교적 고르게 나타났다. 그러나 직접적 단계에서는 ‘서법에 의한 도출’, 간접적 단계에서는 ‘제안성 어구’에 편중되어 있어 청자의 체면 손상을 고려하지 않는 대화 구성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용론적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이 확인되었다. 더불어 숙달도 수준이 높아질수록 북한 사회 및 체제 선전의 강조가 간접적으로 드러나는 양상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ttern of directive speech ac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ducted for foreign learners in North Korea. To this end, North Korea’s Korean language textbooks were used as the target of analysis, and how the types and strategies of directive speech act appeared according to their level of proficiency. The types of directive speech action appeared in the order of 'suggestions', 'requests', 'commands', 'recommendations'. The reason why the appearance of 'commands', 'recommendations', and 'requests', which are compelling to the degree of demand for actions by the listeners, was high because North Korea's view of language was reflected. As result of analyzing the emergence of directive speech act strategies at the level of instructional strage,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direct and indirect stages was relatively uniform. However, it can be judged that it constitutes a dialogue that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damage to the face of the listener, as it appears to be biased toward the strategy of 'mood derivable' at the direct stage and the strategy of 'suggestory fomula' at the indirect stage. It was confirmed that the pragmatic discussion was not conducted.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North Korea's Korean language textbooks indirectly emphasize the promotion of North Korean society and system propaganda as proficiency increases. As suc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expanded to the level of discourse through dialogues in Korean painting textbooks.
목차
1. 서론
2. 지시 화행
3. 조선어 교재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육 연구 제25호 목차
- 디지털 기반 이민자 언어교육에서 문법 교수 전략 실현 양상 - 형태초점접근(FFI) 관점에서 호주 AMEP, 일본 Tsunahiro 사례를 중심으로
-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의 지시 화행 제시 양상 연구 - 조선어 연수 기관의 회화 교재를 중심으로
- 결혼이민자 대상 TOPIK 말하기 오류의 주제 분석과 교육 방안 개선 연구
- 한국어 교재 대화문의 인접쌍과 담화 특성 분석 - 문의하기 기능을 중심으로
- 유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을 위한 ‘PITR’ 기반 집단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한국어교육에서 오류 기반 교수 전략 체계 - 베트남어권 오류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학 한국어교육 종사자의 프레카리아트화 고찰
- 지각된 위협인식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다문화교육의 조절효과 검증
- 한국어학과 ‘한국어+ X’ 인재 양성 모델로의 전환 연구 - 중국 치치하얼대학교를 중심으로
- 직업 목적 한국어교육의 학습자 유형에 따른 교육 현황 고찰
- 한국어 논문 표현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 북한의 조선어 교재 『조선어배우기(러시아어판)』 분석
- 생성형 AI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 - 베트남 학습자를 중심으로
- 심층 인터뷰를 통한 동남아시아 지역 한국어교육 현황 연구 -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 독일 한국학 전공자를 위한 한자 교육의 방향과 교수 방안 고찰
- 19세기 한국어 교재 『Fifty Helps』의 문법·표현 분석 - ‘2017년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4단계)’를 기준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在日中国女性形象的话语建构研究 - 以≪朝日新闻≫和≪读卖新闻≫为例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