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irection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for Korean Studies Majors in Germany
- 발행기관
- 한국어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홍연옥(Yeonok H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어 교육 연구』제25호, 447~47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독일의 한국학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자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한국학 연구를 위한 효과적인 한자 교수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독일 사회에서의 라틴어 교육을 참조점으로 삼아서 한국학 전공자들이 한자 역시 학문적 도구와 한국의 문화자산으로 인식하게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또한 독일어의 합성어 구조와 한국어 한자어의 조어 방식 사이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한자 교육이 어휘 습득뿐 아니라 한국 문화와 철학적 개념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는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유럽에서 한국학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현재 근현대 중심의 연구 경향을 한국사 전반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확장을 위해서는 언어와 문화에 대한 통합적 교육 접근이 요구되며, 이 과정에서 한자 교육의 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문 해독 능력을 배양하고 싶은 학습자들을 위한 해외 한국학과의 한자 교육의 독립적인 모듈 구축과 단계별 수업 목표를 제안하였다. 이는 해외 대학 한국학과에서 심화 한자, 한문을 학습하고 싶은 학습자들에게도 체계적인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전공자들이 시공간적으로 확장된 연구 수행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Hanja instruction in Korean Studies departments in Germany and proposes effective teaching methods to support Korean Studies research. Taking Latin education in German society as a point of reference, it emphasizes the need for Korean Studies majors to recognize Hanja both as an academic tool and as part of Korea’s cultural heritage. Drawing on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compound word structure of German and the word-formation methods of Sino-Korean vocabulary, the study suggests that Hanja education can serve not only to enhance vocabulary acquisition but also to promot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philosophical concepts. For Korean Studies in Europe to continue developing,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urrent focus on modern and contemporary studies to cover the entirety of Korean history. Such expansion requires an integrated approach to language and cultural education, in which the strengthening of Hanja instruction plays a key role. Accordingly, this paper proposes the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Hanja modules and step-by-step learning objectives for overseas Korean Studies students who wish to develop Classical Chinese reading skills. This approach would provide structured learning opportunities for students seeking advanced Hanja and Korean Classical Chinese(Hanmun) training, and would lay the foundation for enabling majors to conduct research with a broader temporal and spatial scope.
목차
1. 서론
2. 독일의 라틴어 교육 전통과 한국학에서의 한자 교육 정립
3. 독일 대학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한자 교수 방안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육 연구 제25호 목차
- 디지털 기반 이민자 언어교육에서 문법 교수 전략 실현 양상 - 형태초점접근(FFI) 관점에서 호주 AMEP, 일본 Tsunahiro 사례를 중심으로
-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의 지시 화행 제시 양상 연구 - 조선어 연수 기관의 회화 교재를 중심으로
- 결혼이민자 대상 TOPIK 말하기 오류의 주제 분석과 교육 방안 개선 연구
- 한국어 교재 대화문의 인접쌍과 담화 특성 분석 - 문의하기 기능을 중심으로
- 유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을 위한 ‘PITR’ 기반 집단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한국어교육에서 오류 기반 교수 전략 체계 - 베트남어권 오류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학 한국어교육 종사자의 프레카리아트화 고찰
- 지각된 위협인식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다문화교육의 조절효과 검증
- 한국어학과 ‘한국어+ X’ 인재 양성 모델로의 전환 연구 - 중국 치치하얼대학교를 중심으로
- 직업 목적 한국어교육의 학습자 유형에 따른 교육 현황 고찰
- 한국어 논문 표현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 북한의 조선어 교재 『조선어배우기(러시아어판)』 분석
- 생성형 AI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 - 베트남 학습자를 중심으로
- 심층 인터뷰를 통한 동남아시아 지역 한국어교육 현황 연구 -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 독일 한국학 전공자를 위한 한자 교육의 방향과 교수 방안 고찰
- 19세기 한국어 교재 『Fifty Helps』의 문법·표현 분석 - ‘2017년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4단계)’를 기준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在日中国女性形象的话语建构研究 - 以≪朝日新闻≫和≪读卖新闻≫为例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