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ystematic Framework for Error-Based Instructional Strateg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 Case Analysis of Vietnamese Learners' Grammatical Errors
- 발행기관
- 한국어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정대현(Daehyun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어 교육 연구』제25호, 385~41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베트남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를 단순한 학습 상의 일탈이 아닌, 인지적·구조적 간극을 드러내는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증거로 재개념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론적 정합성을 갖춘 교수 전략 체계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수집한 총 900개의 오류 문장을 대상으로 오류 유형(ec-), 오류 원인(cause-), 교수 전략(strategy-), 교수 이론(theory-)의 네 가지 차원에서 다층적 코딩을 실시하였다.
교수 이론은 형태 초점 교수(FFI), 주의집중 가설(Noticing), 기술 습득 이론(Skill Acquisition), 사회문화이론(Sociocultural Theory), 제시-연습-발화(3P) 모형, 입력 처리 이론(Input Processing Theory) 등 여섯 가지로 설정하였으며, 각 오류는 이에 정합되는 교수적 대응 전략에 연결되었다. 전문가 타당도 검증 결과, 신뢰도(Cohen’s κ = 0.87)와 내용 타당도(CVI = 0.89) 모두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조사의 생략, 시제 불일치, 높임법 오용, 동사 어순 오류가 빈번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베트남어의 통사적 전이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이에 대응하는 전략으로는 구조화된 입력, 의식 상승 과제, 상호작용 중심 활동 등이 이론적 정합성과 수업 실행 가능성 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본 연구는 오류를 중간언어 발달의 진단적 창으로 간주함으로써, 대조 분석과 인지·사회문화적 관점을 통합한 오류 기반 교수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는 한국어 교사에게 실증적 근거를 갖춘 목표 지향적 교수 전략을 제공할 뿐 아니라, 모국어 영향이 뚜렷한 다언어 학습 환경에서도 적용 가능한 전이 가능한 교육 모형으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conceptualizes learner errors as pedagogically valuable evidence of the cognitive and structural gaps between Vietnamese and Korean, rather than temporary deviations to be eliminated. It aims to build a systematic, theory-anchored instructional strateg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grounded in those errors.
A corpus of 900 error sentences produced by Vietnamese learners—sourced from writing tasks, spoken transcripts, and prior studies—was coded along four dimensions: error type (ec-), error cause (cause-), instructional strategy (strategy-), and pedagogical theory (theory-). The multi-layered coding linked each error to an instructional response aligned with six established theories: Focus on Form, Noticing Hypothesis, Skill Acquisition Theory, Sociocultural Theory, the Presentation-Practice-Production model, and Input Processing Theory. Expert validation confirmed both reliability (Cohen’s κ = 0.87) and content validity (CVI = 0.89).
Results show that postposition omission, tense mismatch, honorific misuse, and verb-order errors recur most frequently, reflecting Vietnamese syntactic transfer. Matched strategies—including structured input, consciousness-raising tasks, and guided interaction—displayed high theoretical coherence and classroom feasibility in expert ratings.
By treating errors as diagnostic windows into interlanguage development, this study offers a replicable framework for error-based instruction that integrates contrastive analysis with cognitive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s. The model equips Korean language educators with targeted, empirically grounded techniques and suggests a transferable approach for multilingual contexts where native-language influence is pronounc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육 연구 제25호 목차
- 디지털 기반 이민자 언어교육에서 문법 교수 전략 실현 양상 - 형태초점접근(FFI) 관점에서 호주 AMEP, 일본 Tsunahiro 사례를 중심으로
-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의 지시 화행 제시 양상 연구 - 조선어 연수 기관의 회화 교재를 중심으로
- 결혼이민자 대상 TOPIK 말하기 오류의 주제 분석과 교육 방안 개선 연구
- 한국어 교재 대화문의 인접쌍과 담화 특성 분석 - 문의하기 기능을 중심으로
- 유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을 위한 ‘PITR’ 기반 집단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한국어교육에서 오류 기반 교수 전략 체계 - 베트남어권 오류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학 한국어교육 종사자의 프레카리아트화 고찰
- 지각된 위협인식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다문화교육의 조절효과 검증
- 한국어학과 ‘한국어+ X’ 인재 양성 모델로의 전환 연구 - 중국 치치하얼대학교를 중심으로
- 직업 목적 한국어교육의 학습자 유형에 따른 교육 현황 고찰
- 한국어 논문 표현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 북한의 조선어 교재 『조선어배우기(러시아어판)』 분석
- 생성형 AI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 - 베트남 학습자를 중심으로
- 심층 인터뷰를 통한 동남아시아 지역 한국어교육 현황 연구 -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 독일 한국학 전공자를 위한 한자 교육의 방향과 교수 방안 고찰
- 19세기 한국어 교재 『Fifty Helps』의 문법·표현 분석 - ‘2017년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4단계)’를 기준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在日中国女性形象的话语建构研究 - 以≪朝日新闻≫和≪读卖新闻≫为例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