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xamination of the Precariz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ors in Higher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어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한승규(Seungkyu Han)
- 간행물 정보
- 『한국어 교육 연구』제25호, 417~44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한국어교육 종사자들의 현실을 ‘프레카리아트(precariat)’ 개념을 통해 분석하였다. 지방 사립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어 강사와 비정년트랙 교수들은 단기 계약, 낮은 보수, 제도적 소외 등 구조적 불안정성에 처해 있으며 이는 직업 정체성의 혼란과 과잉노동, 전문성 제약으로 이어지고 있다. 반구조화 면담을 통해 도출된 다섯 가지 범주인 제도적 불안정성, 교육의 상품화, 정체성 단절, 과잉 노동과 감정 관리, 경력과 전문성의 제약은 한국어교육 종사자들이 구조적 취약 계층에 위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고등교육의 공공성을 회복하기 위한 제도 개선과 정책적 대응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reality of university Korean language education workers through the concept of the precariat. Focusing on private universities in regional areas,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nd non-tenure track professors are exposed to structural insecurity, including short-term contracts, low wages, and institutional marginalization. These conditions lead to confusion in professional identity, overwork, and constraints on professional development. Based on semi-structured interviews, five categories were identified: institutional instability, commodification of education, identity disruption, overwork and emotional labor, and limitations in career and expertise. These findings reveal that Korean language educators occupy a structurally vulnerable position. Accordingly, institutional reform and policy measures are needed to restore the public value of higher education.
목차
1. 서론
2. 개념 정의 및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한국어교육 종사자의 프레카리아트적 노동 현실
5. 제언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육 연구 제25호 목차
- 디지털 기반 이민자 언어교육에서 문법 교수 전략 실현 양상 - 형태초점접근(FFI) 관점에서 호주 AMEP, 일본 Tsunahiro 사례를 중심으로
-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의 지시 화행 제시 양상 연구 - 조선어 연수 기관의 회화 교재를 중심으로
- 결혼이민자 대상 TOPIK 말하기 오류의 주제 분석과 교육 방안 개선 연구
- 한국어 교재 대화문의 인접쌍과 담화 특성 분석 - 문의하기 기능을 중심으로
- 유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을 위한 ‘PITR’ 기반 집단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한국어교육에서 오류 기반 교수 전략 체계 - 베트남어권 오류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학 한국어교육 종사자의 프레카리아트화 고찰
- 지각된 위협인식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다문화교육의 조절효과 검증
- 한국어학과 ‘한국어+ X’ 인재 양성 모델로의 전환 연구 - 중국 치치하얼대학교를 중심으로
- 직업 목적 한국어교육의 학습자 유형에 따른 교육 현황 고찰
- 한국어 논문 표현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 북한의 조선어 교재 『조선어배우기(러시아어판)』 분석
- 생성형 AI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 - 베트남 학습자를 중심으로
- 심층 인터뷰를 통한 동남아시아 지역 한국어교육 현황 연구 -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 독일 한국학 전공자를 위한 한자 교육의 방향과 교수 방안 고찰
- 19세기 한국어 교재 『Fifty Helps』의 문법·표현 분석 - ‘2017년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4단계)’를 기준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在日中国女性形象的话语建构研究 - 以≪朝日新闻≫和≪读卖新闻≫为例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