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Learner Types and Educational Practic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ccupational Purposes
- 발행기관
- 한국어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손혜진(Hye-jin Son)
- 간행물 정보
- 『한국어 교육 연구』제25호, 181~20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 사회에 외국인 인력 유입이 확대됨에 따라 직업 목적 한국어교육의 수요가 다층화되고 있다. 외국인 근로자가 지속적으로 양적 성장을 거듭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현 시점에서의 직업 목적 한국어교육의 대상이 가진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부합하는 직업 목적 한국어교육이 제공되고 있는지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근래의 외국인 현황 및 관련 정책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국내 직업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예비 근로자, 비전문·단기 체류 근로자, 숙련·정주 지향 근로자로 유형화하고 각 집단의 특성을 직업 목적 한국어교육 수요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현재 이들에게 제공되는 한국어교육이 직업 목적 한국어교육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직업 목적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한계점,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직업 목적 한국어교육은 각 집단에 따라 상이한 수요와 특성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현행 교육 체계는 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집단에서 직업 목적 한국어교육으로서의 특성이 뚜렷이 드러나지 않는 한계를 보이고 있었다. 이에 따라 향후 직업 목적 한국어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과제로 학습자 유형별 교육 모델 수립, 직업 목적 한국어교육에 관여하는 주체별 역할 및 협업 체계의 명확화, 한국어교육의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정책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inflow of foreign workers into Korean society has led to a diversification of demand for occupational-purpose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the number of foreign workers expected to continue growing,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learners in this field and assess whether the education provided meets their needs. Based on an analysis of recent trends in foreign worker demographics and relevant policies, this study categorizes domestic learners of occupational-purpose Korean into three groups: prospective workers, non-professional or short-term workers, and skilled or settlement-oriented workers. I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from the perspective of demand for occupational-purpose Korean language education. Furthermore, it evaluates whethe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ently offered to these groups embodies the defining features of occupational-purpose education, thereby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limitations, and key challenges. The analysis reveals that, despite the differing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fails to adequately address these differences, and the distinct features of occupational-purpose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not clearly evident in most group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such education, the study proposes the establishment of learner-specific educational models, clarification of the roles and collaborative frameworks among relevant stakeholders, and the creation of policy mechanism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목차
1. 서론
2. 외국인 근로자 현황 및 관련 정책의 전개
3. 직업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유형과 특징
4. 학습자 유형별 직업 목적 한국어교육 제공 실태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육 연구 제25호 목차
- 디지털 기반 이민자 언어교육에서 문법 교수 전략 실현 양상 - 형태초점접근(FFI) 관점에서 호주 AMEP, 일본 Tsunahiro 사례를 중심으로
-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의 지시 화행 제시 양상 연구 - 조선어 연수 기관의 회화 교재를 중심으로
- 결혼이민자 대상 TOPIK 말하기 오류의 주제 분석과 교육 방안 개선 연구
- 한국어 교재 대화문의 인접쌍과 담화 특성 분석 - 문의하기 기능을 중심으로
- 유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을 위한 ‘PITR’ 기반 집단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한국어교육에서 오류 기반 교수 전략 체계 - 베트남어권 오류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학 한국어교육 종사자의 프레카리아트화 고찰
- 지각된 위협인식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다문화교육의 조절효과 검증
- 한국어학과 ‘한국어+ X’ 인재 양성 모델로의 전환 연구 - 중국 치치하얼대학교를 중심으로
- 직업 목적 한국어교육의 학습자 유형에 따른 교육 현황 고찰
- 한국어 논문 표현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 북한의 조선어 교재 『조선어배우기(러시아어판)』 분석
- 생성형 AI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 - 베트남 학습자를 중심으로
- 심층 인터뷰를 통한 동남아시아 지역 한국어교육 현황 연구 -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 독일 한국학 전공자를 위한 한자 교육의 방향과 교수 방안 고찰
- 19세기 한국어 교재 『Fifty Helps』의 문법·표현 분석 - ‘2017년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4단계)’를 기준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在日中国女性形象的话语建构研究 - 以≪朝日新闻≫和≪读卖新闻≫为例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