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李善注《文選》引《論語讖》芻議

이용수  9

영문명
Tentative Discussion on the Lunyu Chen Cited in Li Shan’s Annotations of the Wen Xuan
발행기관
중국인문학회
저자명
吳相錦
간행물 정보
『중국인문과학 』제90집, 99~11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耿戰超는 「論語讖文本流傳考」에서 다음과 같이 지적하였다. “『문선(文選)』에서 이선 (李善)이 주석한 『논어참(論語讖)』은 8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자료는 관가에서 보관한 10권의 정형본과는 달리 사가(私家) 소장본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각편마다 모두 ‘참(讖)’이라 칭하고 있는데, 이는 관가 소장 『논어위(論語緯)』의 명칭과도 다르다. 이는 당대 사가에서 유통된 『논어참』이 여전히 고유의 원형을 유지하고 있었음을 증명한다.” 이를 통해 이선의 주석본에서 기록하는 『논어참』내용은 현존 문헌 중 『논어참』의 원형적 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임을 알 수 있다. 필자의 조사에 따르면, 이선이 인용한 8편의 『논어참』에는 명칭 상의 차이가 존재하며, 오늘날 이선의 『문선』판본에서는 『논어고비참(論語考比讖)』을 『논어비고참(論語比考 讖)』으로, 『논어이보상참(論語攡輔像讖)』을 『논어적보상참(論語摘輔像讖)』으로, 『논어적양성승진참(論語摘襄聖承進讖)』을 『논어적쇠성승진참(論語摘衰聖承進讖』으로 개칭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이선이 인용한 『논어참』을 살펴보면, 일부 항목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당대의 경서 주석, 역사 주석 및 유서(類書)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이선이 실질적으로 전대의 유서를 참고하지 않고, 당시 유행하던 참위(讖緯) 문헌, 즉 송균(宋均)의 『논어참』 주석본을 참고하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In his study A Study on the Transmission of the Texts of the Lunyu Chen, Geng Zhanchao points out: “The Lunyu Chen cited in Li Shan’s annotations in the Wen Xuan consists of eight sections, which presumably derive from a privately held manuscript collection, differing from the official fixed edition of ten volumes. Moreover, each section is referred to as a ‘Chen’, which contrasts with the official designation of the Lunyu Wei in government archives. This indicates that the privately circulated Lunyu Chen during the Tang dynasty retained its original form.” From this, it is evident that Li Shan’s annotated version of the Lunyu Chen constitutes an important source for understanding the original shape of the Lunyu Chen within extant literature. Based on the author’s investigation, there exist naming discrepancies among the eight Lunyu Chen texts cited by Li Shan. It is therefore suggested that in the current edition of Li Shan’s Wen Xuan, the title Lunyu Kaobi Chen (論語考比讖) be renamed Lunyu Bigao Chen (论语比考讖), Lunyu Chifu Xiang Chen (論語摛輔像讖) be renamed Lunyu Zhai Fu Xiang Chen (論語摘輔像讖), and Lunyu Zhai Xiang Sheng Cheng Jin Chen (論語摘襄聖承進讖) be renamed Lunyu Zhai Shuai Sheng Cheng Jin Chen (論語摘衰 聖承進讖). Furthermore, with regard to the Lunyu Chen texts cited by Li Shan, aside from a few entries, the majority do not appear in Tang dynasty classics’ commentaries, historical annotations, or categorized bibliographies. This suggests that Li Shan likely did not rely on earlier categorized bibliographies but rather referenced the then-popular prophetic and exegetical texts, specifically the annotated version of the Lunyu Chen by Song Jun.

목차

Ⅰ. 緖論
Ⅱ.《論語讖》之文獻記載
Ⅲ. 李善注引《論語讖》
Ⅳ. 結論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吳相錦. (2025).李善注《文選》引《論語讖》芻議. 중국인문과학 , (), 99-118

MLA

吳相錦. "李善注《文選》引《論語讖》芻議." 중국인문과학 , (2025): 99-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