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the Picture Interpretation Test-Revised (PITR) for University Adjustment of Internationa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어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이은영(Eun-Young Lee) 손춘섭(Chun-Seop Son)
- 간행물 정보
- 『한국어 교육 연구』제25호, 331~35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자기이해, 정서표현, 사회적 지지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서 지원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로 적용하여 그 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언어적 표현에 제약이 있는 유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투사적 심리 검사인 ‘PITR(Picture Interpretation Test-Revised): 빗속의 사람’을 매개로 하는 비언어적 접근 방식을 활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총 6회기로 구성되었으며, 각 회기에서는 그림 표현과 집단 상호작용을 통해 연구 참여자가 정서 탐색, 자기 성찰, 대처 자원 인식, 관계 회복, 정서 통합의 단계를 경험하도록 설계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지역 소재 K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 23명이며, 집단 상담 과정에서 수집된 워크시트, 그림, 발언 기록, 심층 면담 자료 등을 주제 분석(thematic analysis) 기법으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그림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투영하고 표현하였으며, 집단 내에서 공감과 교류를 통해 정서의 안정과 관계의 지지를 경험하였다. 또한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자기 대처 자원을 인식하고, 자기 이해와 정서 표현 능력의 확장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언어 접근이 어려운 유학생에게 비언어적·투사적 상담 개입의 실천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향후 다문화 및 심리적 취약 집단을 위한 대안적 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implement an emotional support group counseling program designed to enhance self-understanding, emotional express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Considering the linguistic limitations often faced by international students, the program employed a non-verbal, projective approach using the Picture Interpretation Test-Revised (PITR), also known as the “Person in the Rain.” The program consisted of six sessions, each structured to guide participants through stages of emotional exploration, self-reflection, recognition of coping resources, relational recovery, and emotional integration through image expression and group interaction. A total of 23 international students enrolled at K University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worksheets, drawings, verbal interactions, and in-depth interviews during the group counseling sessions and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were able to project and express their emotions naturally through the pictorial stimuli, and experienced emotional stabilization and relational support through empathy and exchange within the group. Additionally, participants reported increased awareness of personal coping resources, as well as enhanced self-understanding and emotional expres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ractical potential of non-verbal, projective counseling interventions for international students with limited language proficiency, and provides foundational insights for developing alternative counseling programs for multicultural and psychologically vulnerable populations.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고찰
3. 이론적 배경
4. 연구 방법
5. 연구 결과
6.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육 연구 제25호 목차
- 디지털 기반 이민자 언어교육에서 문법 교수 전략 실현 양상 - 형태초점접근(FFI) 관점에서 호주 AMEP, 일본 Tsunahiro 사례를 중심으로
-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의 지시 화행 제시 양상 연구 - 조선어 연수 기관의 회화 교재를 중심으로
- 결혼이민자 대상 TOPIK 말하기 오류의 주제 분석과 교육 방안 개선 연구
- 한국어 교재 대화문의 인접쌍과 담화 특성 분석 - 문의하기 기능을 중심으로
- 유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을 위한 ‘PITR’ 기반 집단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한국어교육에서 오류 기반 교수 전략 체계 - 베트남어권 오류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학 한국어교육 종사자의 프레카리아트화 고찰
- 지각된 위협인식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다문화교육의 조절효과 검증
- 한국어학과 ‘한국어+ X’ 인재 양성 모델로의 전환 연구 - 중국 치치하얼대학교를 중심으로
- 직업 목적 한국어교육의 학습자 유형에 따른 교육 현황 고찰
- 한국어 논문 표현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 북한의 조선어 교재 『조선어배우기(러시아어판)』 분석
- 생성형 AI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 - 베트남 학습자를 중심으로
- 심층 인터뷰를 통한 동남아시아 지역 한국어교육 현황 연구 -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 독일 한국학 전공자를 위한 한자 교육의 방향과 교수 방안 고찰
- 19세기 한국어 교재 『Fifty Helps』의 문법·표현 분석 - ‘2017년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4단계)’를 기준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在日中国女性形象的话语建构研究 - 以≪朝日新闻≫和≪读卖新闻≫为例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