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Typological Strategies in the Film Adaptation of Brooklyn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진묵(Mo Chen) 안병삼(Byung Sam An)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7권 4호, 1109~112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화 《브루클린》은 문학 텍스트에서 영화 매체로의 서사적 전환 과정에서 감독 존 크로울리는 원작 소설에 내재된 세 가지 핵심 서사 자원을 정교하게 포착하고 재구성하였다. 즉 주체적 정체성 상실과 재구축, 현대 여성 의식의 각성, 개인 성장의 서사적 동력이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서사를 재편하였다. 이러한 기초 위에서 영화는 원작의 섬세하고 서정적인 미학적 표현을 수용함과 동시에, 장르적 문법에 입각한 서사적 재맥락화를 수행하였다. 특히 여성서사라는 텍스트적 프레임안에서 영화는 기존 문학 서사의 감성적 요소를 시각적 내러티브로 효과적으로 전이시키며 문학에서 영화로의 매체간 전환의 성공적 사례로 자리매김하였다.
영문 초록
During the narrative conversion process of the film “Brooklyn” from literature to film, director John Crowley deeply grasped and extracted three narrative resources in the original work: the loss and reconstruction of subject identity, the awakening of modern women's consciousness and the inspiration of individual growth Narrative, on this basis, the film also absorbs the delicate and tender artistic techniques of the original literary works, and carries out film-type narrative packaging and reshaping, and structures it in the text framework of “female writing”, so that the film can realize A successful transition from literature to video.
목차
Ⅰ. 序言
Ⅳ. 文化冲突背景下主体身份的迷失与重建
Ⅲ. 女性意识:作为独立生命个体的完型之路
Ⅳ. 成长叙事:通俗叙事套路的丰盈拓展
Ⅴ. 结语
参考文献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세계 제7권 4호 목차
- 고대 러시아위경에 나타난 ‘천국’의 개념 연구 : 성경텍스트의 대조를 통해
- ‘MZ세대’의 시대, 고전문학의 대응과 과제 : <성산별곡>, <고공가>를 대상으로
- 생성형 AI의 한국어 쓰기 피드백 제공 양상 및 활용 방안 연구 : Deepseek와 ChatGPT를 중심으로
- H대학원의 영유아세계시민교육 토의 수업에 관한 연구 : 어린이집 원장의 의식 변화를 중심으로
- 대학 융복합 교양교육의 운영 방식 및 실행 방향 탐색
- 자활사업 참여자의 정책 인식과 자활사업 성과의 관계 : 경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과 정서적 자활의 매개효과
- 네팔 유학생의 한국어 학습 동기 연구 : 기대·가치·비용 모델을 중심으로
- 민간 주도 복합문화공간의 지역재생 사례 고찰 : 나주 ‘마중 39-17’을 중심으로
- 뮤지엄 시어터 관람의 교육적 경험에 관한 연구 : 고궁박물관의 ‘녹단’을 중심으로
- 영화 <미쓰백>에서 관계의 상실과 애도에 대한 정신분석적 연구
- 일본 소년 만화에서 ‘미국’은 어떻게 재현되고 해체되는가?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의 올마이트와 스타 앤 스트라이프를 중심으로
- ERRC 모델을 활용한 개인 자연사박물관의 차별화 전략 연구 : 광물 전문 민자연사연구소를 중심으로
- 도스토예프스키의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연구 : 보웬의 가족체계이론으로 바라본 카라마조프가의 역기능
- 고독사의 사회구조 매트릭스 : 위험 유형에 따른 대응 전략 연구
-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저장강박 의심가구 개입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다문화청소년의 최초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자녀의 노동시장 성취에 있어 교육효과의 불평등
- 북한이탈주민과 남한 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이론 연구 : 통합적 문헌 고찰 방법 접근
- 생명정치(biopolitics) 관점에서 본 북한의 코로나19 방역 담론
- 산업도시의 회복과 전환을 위한 거버넌스 설계 탐색 : 거제 조선업 도시의 사례분석
- 제2차 세계대전기 체코슬로바키아망명정부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제적 승인 과정 비교
- 한국 디지털 무역 국제경쟁력에 관한 연구 : 포터의 다이아몬드 모형을 중심으로
- 간호학과 학술 보고서 쓰기 수업 사례 연구
- ‘홍등중기(洪等重記)’를 통해 본 19세기 조선(朝鮮) 전라도(全羅道)의 무주부(茂朱府) : 군비(軍備) 실태와 교방(敎坊)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 로컬콘텐츠 중점대학에 관한 온라인 담론 구조와 실행 네트워크 분석 : 소셜 빅데이터 기반 텍스트마이닝 접근
-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와 행복감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과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 한·중 수희의 공연 문화 비교 고찰 : 송·원 및 고려를 중심으로
- 기억과 장소의 전승 대전 대덕구 장동 산디마을 산신제의 변화와 지속
- 문화적 거리와 장르 특성이 넷플릭스 한국 드라마의 글로벌 수용에 미치는 영향
- <오징어 게임> 시즌 2 O/X 투표의 게임이론적 분석 : 정보 비대칭과 전략적 불확실성
- 암환자 가족 돌봄제공자의 미충족 요구가 우울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 아름살이상담심리학의 이론 정립 : 인간중심상담과 포커싱의 토착적 통합 시도
- 다문화가족 아동의 지역아동센터 이용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중국 청년의 취업 유예 현상에 관한 현상학 연구:직업 가치관은 중심으로
- 아동·청소년 공공 전달체계 국제 비교 : 전달체계의 통합성을 중심으로
- 사회복지사업의 수평적 형평성에 관한 논의
- 미국 국방비의 정치·경제적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论《布鲁克林》电影改编的类型化策略
- A Comparative Analysis of Refugee Protection and Responsibility-Sharing in Central Asia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한국과 세계 제7권 4호 목차
- 고대 러시아위경에 나타난 ‘천국’의 개념 연구 : 성경텍스트의 대조를 통해
- ‘MZ세대’의 시대, 고전문학의 대응과 과제 : <성산별곡>, <고공가>를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