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홍등중기(洪等重記)’를 통해 본 19세기 조선(朝鮮) 전라도(全羅道)의 무주부(茂朱府) : 군비(軍備) 실태와 교방(敎坊)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Examination of 19th-Century Muju-bu in Jeolla-do, Joseon, Through the ‘Hongdeungjunggi’ : With a Focus on Military Affairs and the Gyobang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박진철(Jin-Cheol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7권 4호, 5~2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가 한국사의 전체상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체를 구성하고 있는 작은 부분들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렇기에 한국사 연구의 심화와 지방사 연구의 발전을 위해 조선시대 지방 군현의 실태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19세기 조선시대 전라도 무주부라는 지방 군현의 실제 모습을 『'홍등중기'』라는 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본 연구이다. 19세기 조선에서 크게 알려지지 않은 지방 군현의 실태를 파악하기 어려운 가장 큰 이유가 사료의 부족이다. 그렇기에 본 연구는 『'홍등중기'』라는 사료를 통해 그 실태에 접근하고자 한다. 이제까지 크게 주목받지 못했지만 작성 당시의 지방 군현의 실태를 가장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바로 중기(重記)이다. 특히 이 자료에서 다른 곳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두 가지 내용에 주목하였다. 첫째는 19세기 조선에서 가장 중요했던 지방의 군비(軍備) 관련 내용이다. 둘째는 다른 지방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교방(敎房)과 교방청 물목(敎坊廳 物目)에 대한 내용이다. 이를 통해 19세기 조선의 지방 군현이었던 전라도 무주부의 군비 실태와 교방 문화의 실상에 다가서고자 하였다. 또한 이 중기 자료를 중심으로 각종 관찬 자료와 읍지(邑誌) 등의 자료를 통해 19세기 조선 전라도 무주부라는 지방 군현의 실체에 접근하고자 노력하였다. 이 연구가 한국 지방사를 이해하는 데 작은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deepen the study of Korean history and develop the study of local histor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e of local counties and districts in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paper examines the actual state of local counties and districts in Muju-bu, Jeolla-do, in the 19th century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material called Hongdeungjunggi(洪等重記). Although it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until now, the material that allows us to most accurately understand the actual state of local counties and districts at the time of its creation is Junggi (重記). In particular, I focused on two contents in this material that are difficult to find elsewhere. The first is the content related to local military equipment, which was the most important in 19th century Joseon. The second is the content on Gyobang (敎房) and Gyobangcheong Mulmok (敎坊廳 物目), which is difficult to find in other regions. Through this, I tried to approach the actual state of military equipment and Gyobang culture in Muju-bu, Jeolla-do, a local countie in 19th century Joseon. In addition, based on this mid-term data, we tried to approach the reality of Muju-bu, a local county in Jeolla-do, Joseon in the 19th century, through various government-published data and local history records.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of some help in understanding Korean local history.
목차
Ⅰ. 서론
Ⅱ. 무주부(茂朱府) 관련 자료 검토
Ⅲ. 무주부의 군비 실태: 군병(軍兵)과 군기(軍器)
Ⅳ. 무주부의 교방(敎房)과 교방청물목(敎坊廳物目)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세계 제7권 4호 목차
- 고대 러시아위경에 나타난 ‘천국’의 개념 연구 : 성경텍스트의 대조를 통해
- ‘MZ세대’의 시대, 고전문학의 대응과 과제 : <성산별곡>, <고공가>를 대상으로
- 생성형 AI의 한국어 쓰기 피드백 제공 양상 및 활용 방안 연구 : Deepseek와 ChatGPT를 중심으로
- H대학원의 영유아세계시민교육 토의 수업에 관한 연구 : 어린이집 원장의 의식 변화를 중심으로
- 대학 융복합 교양교육의 운영 방식 및 실행 방향 탐색
- 자활사업 참여자의 정책 인식과 자활사업 성과의 관계 : 경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과 정서적 자활의 매개효과
- 네팔 유학생의 한국어 학습 동기 연구 : 기대·가치·비용 모델을 중심으로
- 민간 주도 복합문화공간의 지역재생 사례 고찰 : 나주 ‘마중 39-17’을 중심으로
- 뮤지엄 시어터 관람의 교육적 경험에 관한 연구 : 고궁박물관의 ‘녹단’을 중심으로
- 영화 <미쓰백>에서 관계의 상실과 애도에 대한 정신분석적 연구
- 일본 소년 만화에서 ‘미국’은 어떻게 재현되고 해체되는가?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의 올마이트와 스타 앤 스트라이프를 중심으로
- ERRC 모델을 활용한 개인 자연사박물관의 차별화 전략 연구 : 광물 전문 민자연사연구소를 중심으로
- 도스토예프스키의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연구 : 보웬의 가족체계이론으로 바라본 카라마조프가의 역기능
- 고독사의 사회구조 매트릭스 : 위험 유형에 따른 대응 전략 연구
-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저장강박 의심가구 개입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다문화청소년의 최초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자녀의 노동시장 성취에 있어 교육효과의 불평등
- 북한이탈주민과 남한 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이론 연구 : 통합적 문헌 고찰 방법 접근
- 생명정치(biopolitics) 관점에서 본 북한의 코로나19 방역 담론
- 산업도시의 회복과 전환을 위한 거버넌스 설계 탐색 : 거제 조선업 도시의 사례분석
- 제2차 세계대전기 체코슬로바키아망명정부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제적 승인 과정 비교
- 한국 디지털 무역 국제경쟁력에 관한 연구 : 포터의 다이아몬드 모형을 중심으로
- 간호학과 학술 보고서 쓰기 수업 사례 연구
- ‘홍등중기(洪等重記)’를 통해 본 19세기 조선(朝鮮) 전라도(全羅道)의 무주부(茂朱府) : 군비(軍備) 실태와 교방(敎坊)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 로컬콘텐츠 중점대학에 관한 온라인 담론 구조와 실행 네트워크 분석 : 소셜 빅데이터 기반 텍스트마이닝 접근
-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와 행복감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과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 한·중 수희의 공연 문화 비교 고찰 : 송·원 및 고려를 중심으로
- 기억과 장소의 전승 대전 대덕구 장동 산디마을 산신제의 변화와 지속
- 문화적 거리와 장르 특성이 넷플릭스 한국 드라마의 글로벌 수용에 미치는 영향
- <오징어 게임> 시즌 2 O/X 투표의 게임이론적 분석 : 정보 비대칭과 전략적 불확실성
- 암환자 가족 돌봄제공자의 미충족 요구가 우울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 아름살이상담심리학의 이론 정립 : 인간중심상담과 포커싱의 토착적 통합 시도
- 다문화가족 아동의 지역아동센터 이용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중국 청년의 취업 유예 현상에 관한 현상학 연구:직업 가치관은 중심으로
- 아동·청소년 공공 전달체계 국제 비교 : 전달체계의 통합성을 중심으로
- 사회복지사업의 수평적 형평성에 관한 논의
- 미국 국방비의 정치·경제적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论《布鲁克林》电影改编的类型化策略
- A Comparative Analysis of Refugee Protection and Responsibility-Sharing in Central Asia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한국과 세계 제7권 4호 목차
- 고대 러시아위경에 나타난 ‘천국’의 개념 연구 : 성경텍스트의 대조를 통해
- ‘MZ세대’의 시대, 고전문학의 대응과 과제 : <성산별곡>, <고공가>를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