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활사업 참여자의 정책 인식과 자활사업 성과의 관계 : 경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과 정서적 자활의 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Policy Perception and Program Outcomes in Self-Sufficiency Programs : Effects on Economic Self-Sufficiency and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self-sufficiency
발행기관
한국국회학회
저자명
이상아(Sanga Lee) 이원지(Wonji Lee)
간행물 정보
『한국과 세계』제7권 4호, 261~28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근로 조건, 자활사업단, 자활사업 내 교육, 게이트웨이·사례관리, 자활근로 환경에 대한 경험을 통해 형성된 인식이 정서적 자활(과정적 성과)을 매개로 경제적 자활(결과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자활복지개발원의 2023년 자활사업 참여자 실태조사 자료 중 자활사업 참여자 3,924명의 응답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자활근로 조건은 정서적 자활을 매개하지는 않았으나 경제적 자활에는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활사업단은 정서적 자활을 매개로 경제적 자활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활사업 내 교육은 경제적 자활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으나, 정서적 자활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경제적 자활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넷째, 게이트웨이·사례관리 또한 경제적 자활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으나, 정서적 자활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제적 자활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근로환경의 경우 정서적 자활과 경제적 자활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자활사업 세부영역별 참여자의 정책 인식이 과정적 성과에서 결과적 성과로 이어지는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향후 자활사업 세부 프로그램이 참여자 중심의 맞춤형 지원으로 전환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how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perceptions—formed through experiences in areas such as work conditions, project groups, in-program education, gateway/case management, and working environments—affect economic self-sufficiency, with psychological self-sufficiency as a mediator. Using data from 3,924 participants in the 2023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 Survey, the study found that work condition perceptions had a direct effect on economic self-sufficiency but not through psychological self-sufficiency. Perceptions of project groups, education, and gateway/case management improved economic self-sufficiency indirectly, while perceptions of the working environment had no significant effect. Th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participant-centered, domain-specific strategies that support both process and outcome aspects of self-sufficienc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아(Sanga Lee),이원지(Wonji Lee). (2025).자활사업 참여자의 정책 인식과 자활사업 성과의 관계 : 경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과 정서적 자활의 매개효과. 한국과 세계, 7 (4), 261-289

MLA

이상아(Sanga Lee),이원지(Wonji Lee). "자활사업 참여자의 정책 인식과 자활사업 성과의 관계 : 경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과 정서적 자활의 매개효과." 한국과 세계, 7.4(2025): 261-2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