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연합국 점령하의 서독(1945-55)과 일본(1945-52) 경제
이용수 0
- 영문명
- West German(1945-55) and Japanese (1945-52) Economies under Allied Occupation: Regional Integration, Collective Security, and Trade Networks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양동휴(Yang, Donghyu)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1권 제1호, 810~836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차 세계대전 후 연합국의, 사실상은 미국의 서독(1945-55)과 일본(1945-52) 점령정책은 처음에는 비군사화와 민주화 개혁에 역점을 두었다. 1947년경부터는 정책의 목표가 자립경제 수립을 위한 경제회복으로, 이후에는 이들 패전국 경제와 미국주도의 세계경제가 협조적으로 발전할 수 있게 하는 쪽으로 방향이 전환되었다. 냉전의 도래와 함께 점령정책은 서독과 일본의 경제를 부흥시켜 각각 유럽과 아시아에서 공산주의의 팽창을 봉쇄할 첨병으로 육성한다는 목적을 갖게 되었고 또한 이를 달성하였다. 그러나 그 내면에는 세계적인 달러부족을 해결하고 미국 중심의 협조적 세계경제를 건설하려는 대원칙이 있었다. 이를 위해 서독과 일본을 각각 유럽과 아시아의 ‘공장’으로 만들어 지역경제통합의 주역이 되도록 할 필요가 있었다. 즉 집단안보와 무역망 구축이 함께 간 것이다. 유럽에는 마셜원조와 EPU결성을 통해 유럽경제통합의 씨앗을 뿌렸고 일본에게는 EROA 원조로 시작하여 엄청난 액수의 군수품 주문을 제공하였으며 동남아 쪽으로의 진출을 북돋웠다. 특히 유럽의 경우 슈만계획(1950)을 통한 유럽 자체의 경제통합계획이 기획되고 있었다. 그런데 미국은 유럽의 경제부흥에 그치지 않고 정치적 재편까지 꿈꾸었다. 서독과 일본이 전쟁이전에 그토록 원했으나 좌절했던 대경제권(Grosswirtschaftsraum)과 대동아공영권을 사실상 이룩할 길을 미국이 결국 열어준 셈이다. 서독과 일본은 머지않아 그 지역의 ‘공장’이 되었고 각각 유럽과 아시아 경제권의 중심이 되었다. 달러부족은 해소되었다. 달러부족 해소는 지나쳐서 소위 ‘트리핀 딜레마’에 곧 빠져들었다.
영문 초록
The first phase policy of Allied Occupation of West Germany(1945-55) and of Japan(1945-52) was focused on demilitarization and democratic reform. From 1947 the policy aim was shifted to economic recovery and the establishment of self-sustaining economies, and then further transformed to ‘cooperative developments’ between these defeated countries and the U.S.-led world economy. After the onset of the Cold War, the occupation policy promoted the reconstruction of West German and Japanese economies in order to make them help contain the expansion of the communist regimes in Europe and Asia. However, there lies an utmost necessity to solve the 'dollar gap' then prevailing throughout the world, and to construct a collaborative world economy under the American leadership. To obtain this goal it was important to develop West Germany and Japan into the European and Asian 'workshop' each, and give them the central role of the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respectively. Thus, the collective security and the trade networks are supposed to settle in parallel manner.. In Europe the occupation sewed the seeds of European integration by providing the Marshall aid and by creating the EPU. In Japan, in addition to the EROA fund, the U.S. has put a tremendous amount of military procurement order, and encouraged Japan to expand to Southeast Asia. After all it looks equivalent that the U.S. occupation reopened the way Germany and Japan so wanted to take but failed, to the Grosswirtschaftsraum and the Greater East Asian Co-prosperity Sphere. West Germany and Japan soon became 'workshops' of their own region, and the centers of Europe and Asia respectively. Dollar shortage was soon solved. It overshooted to the 'Triffin dilemma'.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초기 점령정책
Ⅲ. 미국의 대외경제정책 전환과 서독, 일본 경제의 부흥
Ⅳ. 무역의 확대와 무역패턴의 재편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세계화와 개방의 속도
- 외국의 지적재산권 보호와 한국의 기술수출
- 국가와 기업이미지가 주국소비자의 상품평가에 미치는 실증연구
- 근세 일본인의 공중도덕 형성에 관한 고찰
- A Comparative Analysis of American and Korean Initiative and Referendum
- 연합국 점령하의 서독(1945-55)과 일본(1945-52) 경제
- 탄소세 (에너지세) 부과시 한·중·일·미의 생산과 교역변화분석
- 한국의 대 중국 FDI의 대 중국수출에 대한 효과 분석
- 유럽연합의 배출권 거래제와 한국에 대한 시사점
- 외환위기 이후 외국자본이 유입된 은행의 특성 및 성과분석
- 전후 일본경제와 동아시아 경제권의 재편(1951-65년)
- 정보통신기기 상호인정협정(MRA) 추진대상국 분류 및 우선순위 설정
- 아르헨티나의 투자분쟁
- Technology Imitation, Technology Innovation, and R&D in Industrial Evolution
- 한 · 중대학생의 외국브랜드 선호도에 관한 비교연구
- Impacts of the Free Trade System on the World Soybean Trade
- 한국 진출 외식 프랜차이즈 기업의 지식이전에 관한 연구
- 중국 상업은행 효율성 분석
- 한국과 일본의 품목별 수출물가에 대한 환율전가효과
- 북한의 외국인투자기업관련 회계규정에 대한 연구
- 구매자-판매자 관계에서 중국인들의 문화적 변수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ocal Management Strategy of Korean Light Industry Firms in Vietnam : Focused on the Factors of Cultural Environment in Hanoi
- 한국 기업의 국제화지표에 관한 연구
- 도시이미지 결정요인과 도시규모별 이미지 결정요인 비교
- 타이완 민주화의 구성 요소
- 한국 제조업의 총요소 생산성 변화와 그 결정요인 분석
- 미팅플래너의 전문인 성향과 공유가치가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이민사회 힌두교의 지역성과 초국가주의적 성격
- 『평화번영정책』의 남북한 경제관계에 대한 효과
- 지식기반경제의 첨단산업기술경쟁력의 추정 및 국제비교(1985∼1999)
- 우리나라의 BRICs 국가에 대한 해외직접투자(FDI) 관계 분석
- 인도네시아 진출 한국 기업의 경쟁우위요인과 경영성과에 대한 연구
- 중국수출기업의 부채 만기 구조 연구
- 글로벌 공급체인관리의 전략적 파트너쉽과 성과에 관한 연구
- Building a New National Customer Satisfaction Index : The Research on Chinese Customer Satisfaction Index
- 국제 금융투기 규제와 토빈세
- Cross-Cultural Negotiation Strategy : A Comparison of Korean and American Cultural Differences and Negotiation Behaviors
- 미 · 중의 상호정책과 동북아 다자안보 협력체제에 대한 입장
- 대구지역 중소기업을 위한 산학간 기술이전 장애요인분석에 대한 연구
- 중국의 省/市간 소득수렴 실증연구
- 국내 인터넷쇼핑몰의 상품평 유형분류를 통한 제품평가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