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환위기 이후 외국자본이 유입된 은행의 특성 및 성과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Foreign Bank Entry and the Change of Performance after Asian Financial Crisis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민상기(Min,Sang-Kee) 강신애(Kang, Shin Ae) 설원식(Wonsik Sul)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1권 제1호, 308~328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1997년 외환위기를 겪었던 한국,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5개국 은행산업을 대상으로 외국자본이 현지국 은행시장에 진입할 때 어떤 특성을 가진 은행들을 인수하는가와 외국자본 유입이 해당 은행의 경영성과를 유의적으로 개선시켰는가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인도네시아에서는 비이자수익 비중이 높을수록 외국자본에 M&A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나머지 4개국에서는 예대마진이 크고 유동비율이 낮은 은행들을 외국자본이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외국자본이 유입된 은행들은 순이자마진을 증가시키면서 성과를 개선시킨 것을 발견했다. 외국자본의 M&A 이전과 이후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외국자본 유입 이후에는 높은 자기자본비율과 낮은 유동성 비율이 경영성과 개선에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what factors attract foreign capital most when investors enter that capital into the banks of a particular host country, and whether foreign ownership offers significant improvements on bank performance for a sample of commercial banks operating in Korea, Thailand, Indonesia, Malaysia and The Philippines, all of which suffered during the Asian Economic Crisis of 1997 for an approximately ten-year period dating from 1995 to 2005. Our empirical result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the banks who had high non-interest income have a strong possibility of entering into M&As by means of foreign capital in Indonesia, while in the other four countries, the banks that have a high net interest margin and a low liquidity ratio were preferred. Moreover, the banks that were foreign-owned were shown to have improved overall performance by increasing net interest margin. After examining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performance of banks before and after M&As of foreign capital were entered into, we found that after the entry of foreign capital, a high return on equity (ROE) and a low liquidity ratio are the key variables for improving management performanc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가설 도출
Ⅲ. 표본 및 연구방법론
Ⅳ. 실증분석의 주요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세계화와 개방의 속도
- 외국의 지적재산권 보호와 한국의 기술수출
- 국가와 기업이미지가 주국소비자의 상품평가에 미치는 실증연구
- 근세 일본인의 공중도덕 형성에 관한 고찰
- A Comparative Analysis of American and Korean Initiative and Referendum
- 연합국 점령하의 서독(1945-55)과 일본(1945-52) 경제
- 탄소세 (에너지세) 부과시 한·중·일·미의 생산과 교역변화분석
- 한국의 대 중국 FDI의 대 중국수출에 대한 효과 분석
- 유럽연합의 배출권 거래제와 한국에 대한 시사점
- 외환위기 이후 외국자본이 유입된 은행의 특성 및 성과분석
- 전후 일본경제와 동아시아 경제권의 재편(1951-65년)
- 정보통신기기 상호인정협정(MRA) 추진대상국 분류 및 우선순위 설정
- 아르헨티나의 투자분쟁
- Technology Imitation, Technology Innovation, and R&D in Industrial Evolution
- 한 · 중대학생의 외국브랜드 선호도에 관한 비교연구
- Impacts of the Free Trade System on the World Soybean Trade
- 한국 진출 외식 프랜차이즈 기업의 지식이전에 관한 연구
- 중국 상업은행 효율성 분석
- 한국과 일본의 품목별 수출물가에 대한 환율전가효과
- 북한의 외국인투자기업관련 회계규정에 대한 연구
- 구매자-판매자 관계에서 중국인들의 문화적 변수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ocal Management Strategy of Korean Light Industry Firms in Vietnam : Focused on the Factors of Cultural Environment in Hanoi
- 한국 기업의 국제화지표에 관한 연구
- 도시이미지 결정요인과 도시규모별 이미지 결정요인 비교
- 타이완 민주화의 구성 요소
- 한국 제조업의 총요소 생산성 변화와 그 결정요인 분석
- 미팅플래너의 전문인 성향과 공유가치가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이민사회 힌두교의 지역성과 초국가주의적 성격
- 『평화번영정책』의 남북한 경제관계에 대한 효과
- 지식기반경제의 첨단산업기술경쟁력의 추정 및 국제비교(1985∼1999)
- 우리나라의 BRICs 국가에 대한 해외직접투자(FDI) 관계 분석
- 인도네시아 진출 한국 기업의 경쟁우위요인과 경영성과에 대한 연구
- 중국수출기업의 부채 만기 구조 연구
- 글로벌 공급체인관리의 전략적 파트너쉽과 성과에 관한 연구
- Building a New National Customer Satisfaction Index : The Research on Chinese Customer Satisfaction Index
- 국제 금융투기 규제와 토빈세
- Cross-Cultural Negotiation Strategy : A Comparison of Korean and American Cultural Differences and Negotiation Behaviors
- 미 · 중의 상호정책과 동북아 다자안보 협력체제에 대한 입장
- 대구지역 중소기업을 위한 산학간 기술이전 장애요인분석에 대한 연구
- 중국의 省/市간 소득수렴 실증연구
- 국내 인터넷쇼핑몰의 상품평 유형분류를 통한 제품평가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