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 · 중대학생의 외국브랜드 선호도에 관한 비교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Cross-Cultural Study on Foreign Brand Pre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 focused on Japan consumer electronics brand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첸난(Nan Chen) 김창경(Chang Gyeong Kim)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1권 제1호, 683~70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중대학생의 외국브랜드 선호도에 대한 비교연구이다. 그래서 외국브랜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먼저 파악해 보고, 아울러 이들 요인 가운데 어떤 요소가 한․중대학생의 외국브랜드 선호도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먼저,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외국브랜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원산지효과, 소비자의 자민족중심주의성향, 제품의 품질평가, 과시소비성향 4가지 변수를 도출하였다. 연구 분석의 결과, 한․중대학생의 제품 품질평가와 과시소비성향이 외국브랜드선호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대학생의 자민족중심주의성향은 외국브랜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국대학생의 자민족중심주의성향은 외국브랜드 선호도에 부(-)의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원산지효과는 한․중대학생의 외국브랜드 선호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foreign brand preference of Korean students with chinese students. According to the preceding research consumer ethnocentrism, conspicuous consumption, brand of origin effect, product judgment was considered as key deterministic variables for foreign brand preference. From the analysis we could conclude that conspicuous consumption and product judgment have positive effect on foreign brand preference. Consumer ethnocentrism of Chinese college students have negative effect on foreign brand preference. But consumer ethnocentrism of Korean college student have on effect on foreign brand preference. And brand of origin effect also has no effect on foreign brand preference of each countr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의 설정
Ⅲ. 조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연구의 한계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세계화와 개방의 속도
- 외국의 지적재산권 보호와 한국의 기술수출
- 국가와 기업이미지가 주국소비자의 상품평가에 미치는 실증연구
- 근세 일본인의 공중도덕 형성에 관한 고찰
- A Comparative Analysis of American and Korean Initiative and Referendum
- 연합국 점령하의 서독(1945-55)과 일본(1945-52) 경제
- 탄소세 (에너지세) 부과시 한·중·일·미의 생산과 교역변화분석
- 한국의 대 중국 FDI의 대 중국수출에 대한 효과 분석
- 유럽연합의 배출권 거래제와 한국에 대한 시사점
- 외환위기 이후 외국자본이 유입된 은행의 특성 및 성과분석
- 전후 일본경제와 동아시아 경제권의 재편(1951-65년)
- 정보통신기기 상호인정협정(MRA) 추진대상국 분류 및 우선순위 설정
- 아르헨티나의 투자분쟁
- Technology Imitation, Technology Innovation, and R&D in Industrial Evolution
- 한 · 중대학생의 외국브랜드 선호도에 관한 비교연구
- Impacts of the Free Trade System on the World Soybean Trade
- 한국 진출 외식 프랜차이즈 기업의 지식이전에 관한 연구
- 중국 상업은행 효율성 분석
- 한국과 일본의 품목별 수출물가에 대한 환율전가효과
- 북한의 외국인투자기업관련 회계규정에 대한 연구
- 구매자-판매자 관계에서 중국인들의 문화적 변수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ocal Management Strategy of Korean Light Industry Firms in Vietnam : Focused on the Factors of Cultural Environment in Hanoi
- 한국 기업의 국제화지표에 관한 연구
- 도시이미지 결정요인과 도시규모별 이미지 결정요인 비교
- 타이완 민주화의 구성 요소
- 한국 제조업의 총요소 생산성 변화와 그 결정요인 분석
- 미팅플래너의 전문인 성향과 공유가치가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이민사회 힌두교의 지역성과 초국가주의적 성격
- 『평화번영정책』의 남북한 경제관계에 대한 효과
- 지식기반경제의 첨단산업기술경쟁력의 추정 및 국제비교(1985∼1999)
- 우리나라의 BRICs 국가에 대한 해외직접투자(FDI) 관계 분석
- 인도네시아 진출 한국 기업의 경쟁우위요인과 경영성과에 대한 연구
- 중국수출기업의 부채 만기 구조 연구
- 글로벌 공급체인관리의 전략적 파트너쉽과 성과에 관한 연구
- Building a New National Customer Satisfaction Index : The Research on Chinese Customer Satisfaction Index
- 국제 금융투기 규제와 토빈세
- Cross-Cultural Negotiation Strategy : A Comparison of Korean and American Cultural Differences and Negotiation Behaviors
- 미 · 중의 상호정책과 동북아 다자안보 협력체제에 대한 입장
- 대구지역 중소기업을 위한 산학간 기술이전 장애요인분석에 대한 연구
- 중국의 省/市간 소득수렴 실증연구
- 국내 인터넷쇼핑몰의 상품평 유형분류를 통한 제품평가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