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과 일본의 품목별 수출물가에 대한 환율전가효과

이용수  0

영문명
Exchange Rate Pass-Through into Export Prices by Product in Korea and Japan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강삼모(Kang, Sam Mo)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11권 제1호, 421~44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3.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환율의 수출물가 전가효과에 대해 한국과 일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품목별로도 환율이 수출물가에 미치는 장․단기 영향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한국의 경우 대미환율의 수출물가에 대한 환율전가가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그 크기는 일본의 경우와 큰 차이는 없었다. 또한 한국의 수출물가는 엔/달러 환율의 변화에도 크게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품목별로 세분해서 살펴 본 경우 기술력이 약해 경쟁이 치열한 품목일수록 전가효과가 작아 대미환율이 상승하는 경우 수출기업의 채산성이 악화되었다. 한편 생산자물가가 상승하는 경우에 한국은 일본과 달리 이를 수출물가에 전가하지 못해, 내부 경제의 비용증가에 과감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estimates exchange rate pass-through into export prices using data on Korea and Japan. Especially, this paper analyzes the long-term and short-term effects of exchange rates on export by product. The long-run elasticity of exchange rate on export prices respectively reached 0.53, 0.62 in Korea and Japan. It means that the export prices index will fall by 5.3% and 6.2%, respectively, in those countries if the nominal exchange rates against U.S. dollar rises by 10%. In case of Korea, Yen/dollar exchange rate also influences on export prices in Korea. While the product price index strongly influences on export price in Japan, it doesn't influence on export price in Korea.

목차

I. 서론
II. 환율 전가효과의 의미와 선행연구
III. 환율의 전가효과에 관한 실증분석
I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삼모(Kang, Sam Mo) . (2007).한국과 일본의 품목별 수출물가에 대한 환율전가효과. 국제지역연구, 11 (1), 421-443

MLA

강삼모(Kang, Sam Mo) . "한국과 일본의 품목별 수출물가에 대한 환율전가효과." 국제지역연구, 11.1(2007): 421-4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