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럽연합의 배출권 거래제와 한국에 대한 시사점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EU Emissions Trading Scheme(EU-ETS) and Implication for Korea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김영덕(Kim, Young Duk) 정호진(Hojin Jung)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1권 제1호, 194~214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배출권 거래제를 시행하고 있는 선진국들 중 유럽연합의 배출권 거래제(EU-ETS)의 사례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배출권 거래제의 시행과 정책 수립에 대한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세계최초의 대규모 온실가스 프로그램인 EU-ETS는 현재 1단계 EU-ETS(2005-2007년)가 시행중이다. 그러나 1단계 EU-ETS는 교토의정서의 1단계 공약기간을 대비하여 배출권 거래제에 대한 경험을 축적하기 위한 일종의 학습기간으로 상당수의 회원국들이 많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EU-ETS가 경험한 배출권 거래제에 관련된 문제들 가운데 배출권 거래시스템의 선택, 초기할당방식의 선택과 배출권의 기간간 거래 허용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먼저 배출권 거래제의 비용효과적 운영 및 거래참여기업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 총량규제와 감축승인권 거래방식의 혼용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EU의 경우처럼 기준연도 불변 실적기준 무상할당방식의 적용에 따른 windfall profit의 발생이나 할당 방식의 혼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효율성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국내에서는 배출권 도입단계부터 배출권의 초기할당방식으로 경매방식을 이용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또한 온실가스 배출감축 목표달성의 유연성을 제고시키기 위하여 배출권의 예치를 허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imed at coming up with environmental measure to implement a greenhouse gas(GHG) emissions trading system in Korea,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European Union Emission Trading Scheme(EU-ETS). The first phase of EU-ETS was launched in January 2005. It is the largest GHG trading program in the world and the core instrument for Kyoto compliance in EU. However, the experience and performance of EU-ETS reveals a lot of problems and challenges. It suggests how to apply the precedents set by the EU-ETS to Korea, mainly focusing on the structure of a trading system, the initial allocation of allowances, and the approval of inter-temporal trading. Most of all, it proposes both cap-and-trade and baseline-and-credit approaches in order to make reducing emissions cost-effective and to encourage businesses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system. It also recommends auctioning to allocate emission permits from the initial stage of a trading system in Korea. This is to prevent the ineffectiveness of various allocation ways and the windfall profit generated by grandfathering. In conclusion, it sets out a banking of allowances to successfully meet the Kyoto targets and enhance overall flexibility in a emission trading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유럽연합의 배출권 거래제(EU-ETS)의 개요
Ⅲ. EU의 경험과 한국에의 시사점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세계화와 개방의 속도
- 외국의 지적재산권 보호와 한국의 기술수출
- 국가와 기업이미지가 주국소비자의 상품평가에 미치는 실증연구
- 근세 일본인의 공중도덕 형성에 관한 고찰
- A Comparative Analysis of American and Korean Initiative and Referendum
- 연합국 점령하의 서독(1945-55)과 일본(1945-52) 경제
- 탄소세 (에너지세) 부과시 한·중·일·미의 생산과 교역변화분석
- 한국의 대 중국 FDI의 대 중국수출에 대한 효과 분석
- 유럽연합의 배출권 거래제와 한국에 대한 시사점
- 외환위기 이후 외국자본이 유입된 은행의 특성 및 성과분석
- 전후 일본경제와 동아시아 경제권의 재편(1951-65년)
- 정보통신기기 상호인정협정(MRA) 추진대상국 분류 및 우선순위 설정
- 아르헨티나의 투자분쟁
- Technology Imitation, Technology Innovation, and R&D in Industrial Evolution
- 한 · 중대학생의 외국브랜드 선호도에 관한 비교연구
- Impacts of the Free Trade System on the World Soybean Trade
- 한국 진출 외식 프랜차이즈 기업의 지식이전에 관한 연구
- 중국 상업은행 효율성 분석
- 한국과 일본의 품목별 수출물가에 대한 환율전가효과
- 북한의 외국인투자기업관련 회계규정에 대한 연구
- 구매자-판매자 관계에서 중국인들의 문화적 변수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ocal Management Strategy of Korean Light Industry Firms in Vietnam : Focused on the Factors of Cultural Environment in Hanoi
- 한국 기업의 국제화지표에 관한 연구
- 도시이미지 결정요인과 도시규모별 이미지 결정요인 비교
- 타이완 민주화의 구성 요소
- 한국 제조업의 총요소 생산성 변화와 그 결정요인 분석
- 미팅플래너의 전문인 성향과 공유가치가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이민사회 힌두교의 지역성과 초국가주의적 성격
- 『평화번영정책』의 남북한 경제관계에 대한 효과
- 지식기반경제의 첨단산업기술경쟁력의 추정 및 국제비교(1985∼1999)
- 우리나라의 BRICs 국가에 대한 해외직접투자(FDI) 관계 분석
- 인도네시아 진출 한국 기업의 경쟁우위요인과 경영성과에 대한 연구
- 중국수출기업의 부채 만기 구조 연구
- 글로벌 공급체인관리의 전략적 파트너쉽과 성과에 관한 연구
- Building a New National Customer Satisfaction Index : The Research on Chinese Customer Satisfaction Index
- 국제 금융투기 규제와 토빈세
- Cross-Cultural Negotiation Strategy : A Comparison of Korean and American Cultural Differences and Negotiation Behaviors
- 미 · 중의 상호정책과 동북아 다자안보 협력체제에 대한 입장
- 대구지역 중소기업을 위한 산학간 기술이전 장애요인분석에 대한 연구
- 중국의 省/市간 소득수렴 실증연구
- 국내 인터넷쇼핑몰의 상품평 유형분류를 통한 제품평가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