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세계화와 개방의 속도
이용수 0
- 영문명
- On the Pace of Liberalization and Globalization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서한석(Suh,Hanseok)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1권 제1호, 354~373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자유방임적인 개방과 정부에 의해 개방의 규모와 속도가 관리되는 점진주의적인 개방 중 어느 쪽이 더 좋은 경제성과를 가지고 오는가? 이 문제에 답하기 위해 국내의 외국기술에 대한 흡수능력이 있어야만 대외무역을 통해 외국선진기술이 파급되는 경제를 상정한다. 또한 새로운 대외거래관계가 기존의 사회관계를 대체함과 동시에 사회자본을 훼손시키는 경제를 상정한다. 이러한 특징적인 경제에서 다음의 분석결과를 얻었다. 첫째 기술, 자본스톡, 사회자본 및 경제성장률의 경제성과는 점진주의가 자유방임형 개방보다 우월하다. 둘째 단기적으로는 자유방임형 개방이 좋은 성과를 보이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관리된 점진주의가 더 좋은 성과를 보인다. 동아시아 신흥공업국이 중남미 국가들보다 좋은 경제성과를 보였다는 여러 실증자료들은 관리된 점진 주의적 개방이 우월함을 입증하는 사례이다. 셋째 경제가 선진화되면 선진화될수록 점진주의적인 개방의 관리가 더욱 필요하다. 넷째 시장거래관계의 확대가 사회자본을 빠르게 감모시킨다면 점진주의적 개방이 사회자본과 사회적 통합에 도움이 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impact of the choice of the speed and sequence of economic globalization on growth, level of technology, and level of (social and physical) capital stock. Our argument is based on three stylized features of technology: first, technology transfers -and subsequent spillovers - are limited by the economy’s absorptive capacity; second, spillovers take time to materialize; and market transaction relations are simultaneously formed with capital inflows. By letting capital in more gradually, initial investment has the time to create spillovers - and upgrade the economy’s absorptive capacity- before further investment occurs. This allows subsequent capital inflows to benefit from greater technology transfers. As a result, gradualism based on government interventionist policy converges to a steady state with a superior technology, a greater capital stock, and a higher growth rate than bing bang or laissez-faire approach.
목차
I. 서론
II. 개방의 속도: 점진적 개방과 빅뱅식 개방
III. 모형
IV.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세계화와 개방의 속도
- 외국의 지적재산권 보호와 한국의 기술수출
- 국가와 기업이미지가 주국소비자의 상품평가에 미치는 실증연구
- 근세 일본인의 공중도덕 형성에 관한 고찰
- A Comparative Analysis of American and Korean Initiative and Referendum
- 연합국 점령하의 서독(1945-55)과 일본(1945-52) 경제
- 탄소세 (에너지세) 부과시 한·중·일·미의 생산과 교역변화분석
- 한국의 대 중국 FDI의 대 중국수출에 대한 효과 분석
- 유럽연합의 배출권 거래제와 한국에 대한 시사점
- 외환위기 이후 외국자본이 유입된 은행의 특성 및 성과분석
- 전후 일본경제와 동아시아 경제권의 재편(1951-65년)
- 정보통신기기 상호인정협정(MRA) 추진대상국 분류 및 우선순위 설정
- 아르헨티나의 투자분쟁
- Technology Imitation, Technology Innovation, and R&D in Industrial Evolution
- 한 · 중대학생의 외국브랜드 선호도에 관한 비교연구
- Impacts of the Free Trade System on the World Soybean Trade
- 한국 진출 외식 프랜차이즈 기업의 지식이전에 관한 연구
- 중국 상업은행 효율성 분석
- 한국과 일본의 품목별 수출물가에 대한 환율전가효과
- 북한의 외국인투자기업관련 회계규정에 대한 연구
- 구매자-판매자 관계에서 중국인들의 문화적 변수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ocal Management Strategy of Korean Light Industry Firms in Vietnam : Focused on the Factors of Cultural Environment in Hanoi
- 한국 기업의 국제화지표에 관한 연구
- 도시이미지 결정요인과 도시규모별 이미지 결정요인 비교
- 타이완 민주화의 구성 요소
- 한국 제조업의 총요소 생산성 변화와 그 결정요인 분석
- 미팅플래너의 전문인 성향과 공유가치가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이민사회 힌두교의 지역성과 초국가주의적 성격
- 『평화번영정책』의 남북한 경제관계에 대한 효과
- 지식기반경제의 첨단산업기술경쟁력의 추정 및 국제비교(1985∼1999)
- 우리나라의 BRICs 국가에 대한 해외직접투자(FDI) 관계 분석
- 인도네시아 진출 한국 기업의 경쟁우위요인과 경영성과에 대한 연구
- 중국수출기업의 부채 만기 구조 연구
- 글로벌 공급체인관리의 전략적 파트너쉽과 성과에 관한 연구
- Building a New National Customer Satisfaction Index : The Research on Chinese Customer Satisfaction Index
- 국제 금융투기 규제와 토빈세
- Cross-Cultural Negotiation Strategy : A Comparison of Korean and American Cultural Differences and Negotiation Behaviors
- 미 · 중의 상호정책과 동북아 다자안보 협력체제에 대한 입장
- 대구지역 중소기업을 위한 산학간 기술이전 장애요인분석에 대한 연구
- 중국의 省/市간 소득수렴 실증연구
- 국내 인터넷쇼핑몰의 상품평 유형분류를 통한 제품평가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