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다문화 청소년의 친구 지지,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간 종단적 관계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Longitudinal Relationships Among Peer Support,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권다영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5권 제2호, 107~12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의 친구 지지,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의 변화 양상을 종단적으로 살펴보고, 이들 변인 간의 교차적 인과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의 2019년(초등학교 3학년), 2021년(초등학교 5학년), 2023년(중학교 1학년) 시점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동일 집단을 대상으로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RCL)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친구 지지,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는 모두 시간에 따른 안정성을 보였다. 둘째, 친구 지지는 자아존중감에 지속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삶의 만족도 역시 자아존중감에 연속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증진하기 위해 친구 지지와 삶의 만족을 증진시키는 개입의 중요성을 시사하며, 이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도 함께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ongitudinal changes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perceived peer support,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nd to analyze the cross-lagged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Method: To achieve this, data were drawn from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KYPS) conducted in 2019 (3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2021 (5th grade), and 2023 (1st year of middle school). An self-regressive cross-lagged (ARCL) model was applied to the same group across time points.
Results: First, peer support,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ll showed high temporal stability. Second, peer support had a sustained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over time, and life satisfaction also showed a consistent positive influence on self-esteem.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interventions that enhance peer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to promote self-esteem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study also discusses it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 피드백 기능을 활용한 AI 코스웨어 기반 맞춤형 평가전략 탐색
- 디지털 전환 시대, 조응으로 다시 읽는 교육 담론: 네트워크 분석과 철학적 해석의 시도
- 체험중심 장애공감프로그램이 비장애유아의 공감능력과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주도적 참여의 관계에서 학업 열정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학업적 자아개념과 수업참여 사이의 상호인과적 관계: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 대학 세계시민교육에서 인지도구 활용 효과 연구
- 고등학생의 지적 호기심과 진로 적응성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의 매개효과
- 교육주체가 인식한 교육환경 요소와 정책우선순위 분석: 강원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진로발달 간의 관계에서 진로목표조절과 진로결정몰입의 매개효과
- 대학 교수자를 위한 생성형 AI 활용 수업 실행 가이드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교육 거버넌스 기사의 텍스트 마이닝: 단어의 정부별 동향과 담론 분석
- AI 기반 맞춤형 교육 지원 방안에 대한 교사 요구도 분석: 서울 지역 초‧중등 교사를 중심으로
- 경남교육종단연구 자료를 활용한 경남형 혁신학교 행복학교의 종단적 효과성 탐색연구
- 중국 대학생의 학생 주체성과 독립적 학습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사회적 상호의존성과 대학생의 또래관계: 종단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한 탐색
- 수업 구성 분석을 위한 GPT 개발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Academic Cheating through Generative AI (GAI-ACS)
- 고등학생이 지각한 금지명령과 애착의 관계에서 친밀감의 매개효과
-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다문화 청소년의 친구 지지,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간 종단적 관계 분석
- 학교폭력 책임교사의 사안처리 경험 및 역할 연구: 학교폭력 전담조사관 제도 도입 이후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