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체험중심 장애공감프로그램이 비장애유아의 공감능력과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Experiential Disability Empathy Program on Empathy Skills and Attitudes Toward Disabilities Acceptance in Typically Developing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김지혜 김자경 강혜진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5권 제2호, 151~17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체험중심 장애공감프로그램이 비장애유아의 공감능력과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 만 4세 비장애유아 21명을 대상으로 6주간 총 12회에 걸쳐 체험중심 장애공감프로그램을 적용한 교육 활동을 실시하였다. 유아들의 공감능력과 장애수용태도에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변화의 유의미함을 검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체험중심 장애공감프로그램이 비장애유아의 공감능력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며, 공감능력의 하위 영역인 슬픔, 심적부담, 불안 요인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체험중심 장애공감프로그램이 비장애유아의 장애수용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장애수용태도의 하위 영역인 지적장애, 지체장애, 시각장애, 자폐성장애, 의사소통장애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향상되었다.
논의 및 결론: 체험중심 장애공감프로그램을 적용한 교육 활동은 유아의 공감능력과 장애수용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experiential disability empathy program on the empathy skills and attitudes toward disabilities acceptance among typically developing young children.
Method: Educational activities incorporating the program were conducted for six weeks, totaling 12 sessions involving 21 four-year-old children. To assess changes in the children’s empathy skills and their attitudes towards disability, paired t-tests were performed using pre- and post-tests.
Results: First, the experienial disability empath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mpathy skills of typically developing young children. Second, the program also positively influenced 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disability.
Conclusion: Implementing this progra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expected to serve as a foundation for fostering empathy towards dis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 피드백 기능을 활용한 AI 코스웨어 기반 맞춤형 평가전략 탐색
- 디지털 전환 시대, 조응으로 다시 읽는 교육 담론: 네트워크 분석과 철학적 해석의 시도
- 체험중심 장애공감프로그램이 비장애유아의 공감능력과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주도적 참여의 관계에서 학업 열정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학업적 자아개념과 수업참여 사이의 상호인과적 관계: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 대학 세계시민교육에서 인지도구 활용 효과 연구
- 고등학생의 지적 호기심과 진로 적응성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의 매개효과
- 교육주체가 인식한 교육환경 요소와 정책우선순위 분석: 강원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진로발달 간의 관계에서 진로목표조절과 진로결정몰입의 매개효과
- 대학 교수자를 위한 생성형 AI 활용 수업 실행 가이드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교육 거버넌스 기사의 텍스트 마이닝: 단어의 정부별 동향과 담론 분석
- AI 기반 맞춤형 교육 지원 방안에 대한 교사 요구도 분석: 서울 지역 초‧중등 교사를 중심으로
- 경남교육종단연구 자료를 활용한 경남형 혁신학교 행복학교의 종단적 효과성 탐색연구
- 중국 대학생의 학생 주체성과 독립적 학습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사회적 상호의존성과 대학생의 또래관계: 종단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한 탐색
- 수업 구성 분석을 위한 GPT 개발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Academic Cheating through Generative AI (GAI-ACS)
- 고등학생이 지각한 금지명령과 애착의 관계에서 친밀감의 매개효과
-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다문화 청소년의 친구 지지,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간 종단적 관계 분석
- 학교폭력 책임교사의 사안처리 경험 및 역할 연구: 학교폭력 전담조사관 제도 도입 이후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