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대학생의 학생 주체성과 독립적 학습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Agency and Independent Learning in China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장야 양칭차이 강승희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5권 제2호, 129~15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생 주체성이 독립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중국 대학생 169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회귀 분석과 Bootstrap 방법을 통해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학생 주체성은 독립적 학습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주체성이 높은 학생일수록 독립적 학습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는 학생 주체성과 독립적 학습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 주체성이 직접적으로 독립적 학습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지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사회적 지지의 영향 중에서 특히, 가족 지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다음으로 친구 지지와 사회적 네트워크의 순으로 영향이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독립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생 개인의 주체성을 강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가족을 포함한 사회적 지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고등 교육에서 자기 주도적 학습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며, 향후 교육 정책과 교수 설계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student agency on independent learning and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is relationship. Method: Survey data collected from 1,694 Chinese university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regression analysis and the bootstrap metho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student agency significantly predicted independent learning, with students exhibiting higher agency also demonstrating stronger independent learning abilities. Furthermore, social support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agency and independent learning. This suggests that student agency not only directly facilitates independent learning but also exerts an indirect influence through social support. In particular, family support exerted the strongest mediating effect, followed by support from friends and social networks. Conclusion: These results imply that enhancing university students' independent learning requires strengthening individual agency as well as establishing a robust social support system, including family support.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promoting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ies in higher education and offer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future educational policies and instructional desig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야,양칭차이,강승희. (2025).중국 대학생의 학생 주체성과 독립적 학습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교육혁신연구, 35 (2), 129-150

MLA

장야,양칭차이,강승희. "중국 대학생의 학생 주체성과 독립적 학습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교육혁신연구, 35.2(2025): 129-1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