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폭력 책임교사의 사안처리 경험 및 역할 연구: 학교폭력 전담조사관 제도 도입 이후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Experience and Role of School Violence Lead Teachers: Focusing on the Post-Introduction of the School Violence Investigator System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정현진 김회용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5권 제2호, 321~34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전담조사관 제도가 도입된 이후 학교폭력 사안처리 실태와 책임교사의 인식에 대해 책임교사의 경험을 토대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학교폭력 사안처리 과정에서 책임교사가 맡아야 할 궁극적인 역할을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학교폭력 전담조사관 제도 도입 이후의 학교폭력 사안처리 실태와 사안처리 과정에서 책임교사의 역할을 탐구하기 위해 혼합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현장의 학교폭력 책임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추가로 현직 교사, 정책 전문가, 교육전문직, 전담조사관을 대상으로 전문가인터뷰를 진행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학교폭력 전담조사관 제도 도입 이후 학교폭력 사안처리 과정에서 책임교사는 학생이나 학부모의 민원에 대한 부담을 경험하고, 학교폭력 전담조사관 제도가 이와 관련하여 유의미한 효과를 본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여전히 학교폭력 사안처리 과정의 본질적인 개선을 위해서는 책임교사의 역할을 재설정하여야 한다는 것 또한 확인하였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는 학교폭력 사안처리 과정에서 책임교사가 행해야 할 근본적인 역할에 대해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of school violence cases and the perception of responsible teacher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school violence investigator system.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responsible teacher,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ultimate role responsible teachers should play in the process of handling school violence cases.
Method: This study employed a mixed research method to explore the status of school violence case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school violence investigator system and the role of responsible teachers in the case process. A survey was conducted on 170 teachers in charge of school violence in the field, and expert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incumbent teachers, policy experts, education professionals, and dedicated investigators. The results were analyzed acordingly.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sponsible teacher experienced the burden of complaints from students and parents, and the school violence investigator system had a significant effect in this regard. However,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role of the responsible teacher should be reset in order to fundamentally improve the process of dealing with school violence cases.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fundamental role responsible teachers should play in the process of dealing with school violence cases, providing meaningful insights for policy and practi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 피드백 기능을 활용한 AI 코스웨어 기반 맞춤형 평가전략 탐색
- 디지털 전환 시대, 조응으로 다시 읽는 교육 담론: 네트워크 분석과 철학적 해석의 시도
- 체험중심 장애공감프로그램이 비장애유아의 공감능력과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주도적 참여의 관계에서 학업 열정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학업적 자아개념과 수업참여 사이의 상호인과적 관계: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 대학 세계시민교육에서 인지도구 활용 효과 연구
- 고등학생의 지적 호기심과 진로 적응성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의 매개효과
- 교육주체가 인식한 교육환경 요소와 정책우선순위 분석: 강원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진로발달 간의 관계에서 진로목표조절과 진로결정몰입의 매개효과
- 대학 교수자를 위한 생성형 AI 활용 수업 실행 가이드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교육 거버넌스 기사의 텍스트 마이닝: 단어의 정부별 동향과 담론 분석
- AI 기반 맞춤형 교육 지원 방안에 대한 교사 요구도 분석: 서울 지역 초‧중등 교사를 중심으로
- 경남교육종단연구 자료를 활용한 경남형 혁신학교 행복학교의 종단적 효과성 탐색연구
- 중국 대학생의 학생 주체성과 독립적 학습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사회적 상호의존성과 대학생의 또래관계: 종단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한 탐색
- 수업 구성 분석을 위한 GPT 개발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Academic Cheating through Generative AI (GAI-ACS)
- 고등학생이 지각한 금지명령과 애착의 관계에서 친밀감의 매개효과
-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다문화 청소년의 친구 지지,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간 종단적 관계 분석
- 학교폭력 책임교사의 사안처리 경험 및 역할 연구: 학교폭력 전담조사관 제도 도입 이후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