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주도적 참여의 관계에서 학업 열정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A Sequential Mediation of Academic Pass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Agentic Engagemen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권민지 임효진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5권 제2호, 201~2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주도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관계에서 학업 열정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가지는 순차적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수도권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375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자율성 지지 인식, 주도적 참여, 학업 열정,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주도적 참여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학업 열정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및 순차적 매개효과를 부트스트래핑 방법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주도적 참여에 직‧간접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이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조화열정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사의 자율성 지지에서 조화열정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거쳐 주도적 참여로 이어지는 순차적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나, 강박열정을 포함한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학생의 조화열정을 발달시키고, 다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충족시키는 순차적 매개과정을 통해 학생의 주도적 참여가 향상된다. 따라서 주도적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중요하며, 이때 강박열정보다 조화열정이 발달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의 자율성 지지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erceived teacher autonomy support on students’ agentic engagement along with the sequential mediating roles of academic pass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Method: A total of 375 fifth- and sixth-grade students from elementary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utonomy support and agentic engagement.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an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was tested using a bootstrapping method.
Results: First, teacher autonomy supp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gentic engagement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with academic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ing this relationship. Second, teacher autonomy support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nfluenced harmonious pass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Thir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harmonious pass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whereas the pathway involving obsessive passion was not.
Conclusion: The study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eacher autonomy support in promoting students’ agentic engagement and it is crucial that this support fosters harmonious rather than obsessive passion. It suggested the need for professional practice that helps cultivate autonomy-supportive practic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 피드백 기능을 활용한 AI 코스웨어 기반 맞춤형 평가전략 탐색
- 디지털 전환 시대, 조응으로 다시 읽는 교육 담론: 네트워크 분석과 철학적 해석의 시도
- 체험중심 장애공감프로그램이 비장애유아의 공감능력과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주도적 참여의 관계에서 학업 열정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학업적 자아개념과 수업참여 사이의 상호인과적 관계: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 대학 세계시민교육에서 인지도구 활용 효과 연구
- 고등학생의 지적 호기심과 진로 적응성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의 매개효과
- 교육주체가 인식한 교육환경 요소와 정책우선순위 분석: 강원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진로발달 간의 관계에서 진로목표조절과 진로결정몰입의 매개효과
- 대학 교수자를 위한 생성형 AI 활용 수업 실행 가이드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교육 거버넌스 기사의 텍스트 마이닝: 단어의 정부별 동향과 담론 분석
- AI 기반 맞춤형 교육 지원 방안에 대한 교사 요구도 분석: 서울 지역 초‧중등 교사를 중심으로
- 경남교육종단연구 자료를 활용한 경남형 혁신학교 행복학교의 종단적 효과성 탐색연구
- 중국 대학생의 학생 주체성과 독립적 학습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사회적 상호의존성과 대학생의 또래관계: 종단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한 탐색
- 수업 구성 분석을 위한 GPT 개발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Academic Cheating through Generative AI (GAI-ACS)
- 고등학생이 지각한 금지명령과 애착의 관계에서 친밀감의 매개효과
-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다문화 청소년의 친구 지지,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간 종단적 관계 분석
- 학교폭력 책임교사의 사안처리 경험 및 역할 연구: 학교폭력 전담조사관 제도 도입 이후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