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업적 자아개념과 수업참여 사이의 상호인과적 관계: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이용수  0

영문명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Concept and Class Engagement: Application of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최희철 이미아 김영미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5권 제2호, 225~243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학업적 자아개념과 수업참여 사이의 상호인과적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패널조사에 참여한 중학생 중에서 중3시점(5차 연도)과 고1시점(6차 연도)에서 2회 모두 조사에 응답한 6,212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선행시점(5차 연도, 중3)의 학업적 자아개념은 후행시점(6차 연도, 고1)의 수업참여를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였다. 둘째, 선행시점(5차 연도, 중3)의 수업참여가 높을수록 후행시점(6차 연도, 고1)의 학업적 자아개념이 높았다. 셋째, 학업적 자아개념의 자기회귀 효과는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수업참여의 자기회귀 효과는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논의 및 결론: 학교생활 중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수업시간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학업적인 측면에서 자기를 긍정적으로 지각하는데 유익한 효과가 있다고 제안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concept and class engagement using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panel.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self-concept and classroom engagement, utilizing data from 6,212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both the 5th (9th grade) and 6th (10th grade) waves of th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Results: First, academic self-concept at the earlier time point (9th grade)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class engagement at the later time point (10th grade). Second, higher class engagement at the earlier time point predicted higher academic self-concept at the later time point. Third, the autoregressive effect of academic self-concept was positively significant. Fourth, the autoregressive effect of class engagement was also positively significant. Conclusion: These results imply that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 activities, which constitute a major portion of school life, may have a beneficial impact on students' positive perceptions of students’ academic 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희철,이미아,김영미. (2025).학업적 자아개념과 수업참여 사이의 상호인과적 관계: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교육혁신연구, 35 (2), 225-243

MLA

최희철,이미아,김영미. "학업적 자아개념과 수업참여 사이의 상호인과적 관계: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교육혁신연구, 35.2(2025): 225-2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