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 전환 시대, 조응으로 다시 읽는 교육 담론: 네트워크 분석과 철학적 해석의 시도

이용수  6

영문명
Educational Discourse Reinterpreted through Correspondences in the Digital Era Transformation : Network Analysis and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강승지 윤정진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5권 제2호, 47~6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 시대 교육 담론의 구조적 특성과 중심 개념들을 분석하고, 그 담론이 전제하는 교육관과 실천 방향을 철학적으로 해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기술 중심의 교육 담론이 강화되는 현 상황에서, 교육을 인간-기술-환경의 감응적 흐름으로 바라보는 조응의 관점을 통해 인간다운 배움의 회복 가능성을 다시 사유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KCI에 등재된 디지털 교육 관련 연구물 889편, 키워드 4,308개를 수집하고, 키워드 간 빈도 분석과 중심성 네트워크 분석, 연도별 에고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나아가 팀 잉골드의 조응 개념을 통해 데이터에서 드러나는 교육담론의 교육관을 철학적으로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 전환 시대의 교육 담론은 ‘디지털 리터러시’, ‘효율성’, ‘AI기반 피드백’, ‘자기주도성’, ‘플랫폼’ 등의 기술 중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교육을 설계 가능하고 최적화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전제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반면, ‘돌봄’, ‘상호작용’, ‘배움’, ‘관계성’ 등의 키워드는 중심성이 낮아 네트워크 외곽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이는 감각적‧윤리적 교육 개념들이 기술 담론 내에서 주변화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포스트휴먼’ 키워드는 최근 시기에서 중심 키워드와 연결되기 시작하면서, 교육담론의 존재론적 전환 가능성을 시사한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 시대 교육 담론이 효율성, 자율성, 예측 가능성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며, 팀 잉골드의 ‘조응’과 ‘주의의 교육’이라는 철학적 틀을 통해, 감응성, 관계성, 돌봄과 같은 교육의 감각적 차원을 회복하는 해석을 제안한다. 또한 ‘포스트휴먼’ 담론의 등장은 인간, 기술, 비인간, 환경 간의 얽힘을 사유하는 존재론적 교육철학의 필요성을 드러낸다. 따라서 디지털 전환 이후의 교육은 기술을 단순히 도입하거나 배제하는 접근을 넘어, 기술과 함께 감응하는 배움의 흐름을 따라가는 전환적 교육을 요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환을 위한 철학적 기반을 제공하며, 교육학 내 이론과 실천적 담론 사이의 연결을 확장하는 데 기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key concepts of educational discourse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and offers a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how education is conceptualized. Drawing on Tim Ingold’s concept of correspondences, the study seeks to reconsider learning as a responsive and relational experience, rather than a process of control and optimization. Method: A total of 889 digital education-related articles from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were analyzed using text mining. Keyword frequency, centrality network analysis (degree, closeness, betweenness), and ego network analysis by period were conducted and interpreted through a philosophical lens. Results: The contemporary educational discourse is predominantly shaped by keywords such as “digital literacy”, “efficiency”, “AI-based feedback”, “self-directed learning” and “platform” reflecting a trend toward viewing education as a system that prioritizes technical efficiency, individual autonomy, and predictive control. In contrast, keywords like as “care”, “interaction”, “relationality” and “learning” appeared in peripheral positions, indicating the marginalization of sensory and ethical dimensions of education. Notably, the emergence of the keyword “posthuman” in more recent publications suggests a growing ontological awareness of the entanglement between humans, technologies, and nonhuman environments. Conclusion: This study critiques the dominance of control-oriented discourse and, through correspondences, advocates for restoring responsiveness, care, and relationality in education. It proposes reimagining learning as a flow shaped through human-technology entanglements, offering a basis for reconnecting philosophy with practice.

목차

Ⅰ. 들어가며: 디지털 교육을 다시 묻다
Ⅱ. 디지털 담론과 교육적 사유
Ⅲ. 담론 분석의 혼합적 접근
Ⅳ. 디지털 교육의 연구동향과 담론의 구조
Ⅴ. 디지털 시대 이후의 실천: 흐름으로서의 교육
Ⅵ.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승지,윤정진. (2025).디지털 전환 시대, 조응으로 다시 읽는 교육 담론: 네트워크 분석과 철학적 해석의 시도. 교육혁신연구, 35 (2), 47-67

MLA

강승지,윤정진. "디지털 전환 시대, 조응으로 다시 읽는 교육 담론: 네트워크 분석과 철학적 해석의 시도." 교육혁신연구, 35.2(2025): 47-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