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I 기반 맞춤형 교육 지원 방안에 대한 교사 요구도 분석: 서울 지역 초‧중등 교사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Teachers' Needs for AI-Based Personalized Education Strategies: Focusing o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Seoul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장선희 김동심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5권 제2호, 419~44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AI 기반 맞춤형 교육의 실천을 위해 요구되는 지원 방안에 대한 초‧중등 교원의 요구도를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AI 기반 맞춤형 교육 지원 방안에 대한 요구 수준이 교원의 AI 기반 맞춤형 교육에 대한 관심 수준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정을 바탕으로 관심기반수용모형(CBAM)을 활용하여 교사의 관심 수준에 따른 집단(개인, 과업, 영향 단계)별 요구도와 전체 집단의 요구 수준을 분석하였다. 요구도 분석에는 Borich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AI 기반 맞춤형 교육에 대한 관심 수준에 따라 교사의 요구도에는 차이가 존재하였다. 모든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난 항목은 ‘정규 교육과정 기반의 다양한 콘텐츠 확보(C1)’, ‘안정적 네트워크 환경 구축(B4)’, ‘교사‧학생 인식 개선 및 이해도 제고(E1)’, ‘교육 데이터의 안전한 관리 및 효과적 활용(D2)’, ‘학생의 디지털 소양 강화(E4)’이며, ‘학부모 인식 개선 및 이해도 제고(E2)’와 ‘사용자 요구를 반영한 AI 기반 맞춤형 교육 서비스 지속적 개선(B3)’은 관심 수준이 영향 단계인 집단에서만 최우선 과제로 도출되었다. 논의 및 결론: AI 기반 맞춤형 교육에 대한 관심 수준을 고려한 차별적 지원 방안 마련이 필요하며, 1) 정규 교육과정 기반의 다양한 콘텐츠 확보 및 보급, 2) AI 기반 맞춤형 교육 실행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서비스 지속‧개선, 3) 교육당사자의 인식 개선 및 이해도 제고, 4) 교육데이터의 안전한 관리 및 효과적 활용 방안 마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need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measures required for the implementation of AI-based personalized education. Method: It was assumed that teachers' needs would differ depending on their level of concern about AI-based personalized education. The Concern-Based Adoption Model (CBAM) was applied to analyze both group-specific needs (self, task, and impact stages) and overall demand.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utilized to assess these needs. Results: Teachers’ needs varied according to their stage of concern about AI-based personalized education. The top priorities across all groups were: (1) securing a variety of content aligned with the regular curriculum (C1), (2) establishing a stable network environment (B4), (3) improving awareness and understanding among teachers and students (E1), (4) securely managing and effectively utilizing educational data (D2), and (5) enhancing students’ digital literacy (E4). Unique priorities identified by the Impact-stage cohort included: (1) improving parental awareness and understanding (E2), and (2) continuously enhancing AI-based personalized education services to reflect user needs (B3). Conclusion: Differentiated support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considering teachers' stages of concern.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1) securing and disseminating diverse curriculum-based content, (2) building infrastructure and continuously enhancing AI-based personalized education services, (3) promoting awareness and understanding among educational stakeholders, and (4) establishing plans for the secure management and effective use of educational data.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 피드백 기능을 활용한 AI 코스웨어 기반 맞춤형 평가전략 탐색
- 디지털 전환 시대, 조응으로 다시 읽는 교육 담론: 네트워크 분석과 철학적 해석의 시도
- 체험중심 장애공감프로그램이 비장애유아의 공감능력과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주도적 참여의 관계에서 학업 열정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학업적 자아개념과 수업참여 사이의 상호인과적 관계: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 대학 세계시민교육에서 인지도구 활용 효과 연구
- 고등학생의 지적 호기심과 진로 적응성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의 매개효과
- 교육주체가 인식한 교육환경 요소와 정책우선순위 분석: 강원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진로발달 간의 관계에서 진로목표조절과 진로결정몰입의 매개효과
- 대학 교수자를 위한 생성형 AI 활용 수업 실행 가이드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교육 거버넌스 기사의 텍스트 마이닝: 단어의 정부별 동향과 담론 분석
- AI 기반 맞춤형 교육 지원 방안에 대한 교사 요구도 분석: 서울 지역 초‧중등 교사를 중심으로
- 경남교육종단연구 자료를 활용한 경남형 혁신학교 행복학교의 종단적 효과성 탐색연구
- 중국 대학생의 학생 주체성과 독립적 학습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사회적 상호의존성과 대학생의 또래관계: 종단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한 탐색
- 수업 구성 분석을 위한 GPT 개발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Academic Cheating through Generative AI (GAI-ACS)
- 고등학생이 지각한 금지명령과 애착의 관계에서 친밀감의 매개효과
-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다문화 청소년의 친구 지지,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간 종단적 관계 분석
- 학교폭력 책임교사의 사안처리 경험 및 역할 연구: 학교폭력 전담조사관 제도 도입 이후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