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Lexical, Syntactic, and Cohesive in Children’s and Adolescents’ Expository Writing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정부자(Bhu-Ja Chung) 박주영(Ju-Young Park) 전희정(Hee-Cheong Chon)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10권 제3호, 993~101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6학년, 중학교 2학년 총 51명의 아동·청소년이 산출한설명 담화 글쓰기 자료를 분석하여 관련 요인의 발달 추이를 확인하고, 이 시기 언어와문해의 평가 및 중재에 활용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문제는 설명 담화글쓰기에 나타난 어휘, 구문, 결속표지 표현에서 학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와 세부 요인간에 어떠한 상관이 나타나는지 탐색하는 것이었다. 세부적인 요인으로서 어휘 영역은NTW와 NDW를, 구문 영역에 나타난 표현의 복잡성은 낱말로 본 평균 T-unit 길이와 절밀도를, 결속표지 영역의 표현은 총 결속표지의 수, 결속표지의 정확률, T-unit당 평균 결속표지 사용 수를 확인하였고 다변량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학년에 따라 어휘의 다양성, 구문의 복잡성과 함께 결속표지의 사용도 및 정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전체적으로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에는 완만하게 진행되었으나, 중학교 2학년 시기에는 상승세가 뚜렷해지는 추세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글쓰기에 나타난 어휘뿐 아니라 구문과 문장의 응집성을 나타내는 세부적인 문법표지의 사용에 대한 확인과 관심이 청소년 시기까지 꾸준히 이어져야 함을 시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expository discourse writing samples from 51 studentsin the fourth and six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The purpose was to examine developmental trends of related factorsan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of languageand literacy during this period. The research questions explored whether there weregrade-level differences in vocabulary, syntax, and cohesive markers in expositorytexts, and what correlations were observed among these factors. In the vocabularydomain, the total number of words (NTW) and the number of different words (NDW)were measured. Syntactic complexity was assessed using the mean length of T-unitin words (MLT-w) and clause density. For the cohesive marker domain, analysesincluded the total number of cohesive markers, the accuracy rate of cohesivemarker use, and the mean number of cohesive markers per T-unit. Multivariateanalyses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Overall, results revealed aprogressive increase across grade levels in lexical diversity, syntactic complexity,and both the frequency and accuracy of cohesive marker use. These gains weremodest between Grades 4 and 6 but became markedly more increased by Grade 8. Th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continued monitoring and support of notonly lexical and syntactic development but also the mastery of fine-grainedgrammatical devices that contribute to textual cohesion throughout adolescen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 가치교육 실천역량 강화를 위한 유아교사의 컨설팅 참여 경험
- 설명 담화 쓰기에 나타난 아동·청소년의 어휘, 구문 및 결속표지 특성
- 초등학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교직논술’ 문제의 출제 경향 분석
- 재가 요양보호사의 근로 현실과 처우개선에 관한 소고
-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직 정체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센터 소재지에 의한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 푸드테크 외식서비스 지속수용의도 영향요인 분석: 기술친숙도 기반이항로짓모형 접근
- 헌법상 노인의 보건권
- 보건・의료계열 지역인재의 취업을 위한 이동현황 분석
- 현직 유아교사의 AI 역량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방안 탐색
- 시설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기능평가 기반 행동중재 효과: 단일사례연구
- 국내 특수가연물 관리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연구
- 팀 활동 중심 대학 글쓰기 수업 운영 사례와 학습자의 인식
- 세종학당 정책의 형성과 변화: 정책네트워크 이론을 중심으로
- 경력단절여성의 가족지지가 경력계획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디지털 성범죄에 대한 현행 법제의 한계와 개선방안
- 자율운항선박 시대 해양경찰 교육수요 분석과 우선순위 도출
- 돌봄스트레스가 부모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자본의조절효과: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돌보는 부모를 중심으로
- 청소년활동 진흥 조례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 영유아교사의 음악교수실행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빅카인즈를 활용한 ‘부모코칭’ 관련 국내 언론보도 분석
- 부모의 부부갈등과 양육방식이불안취약 유아와 불안안정 유아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 세종시민의 코로나블루 수준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 마이크 코르닉의 《라틴 피아노 듀엣 1권》에 나타난중급 피아노 교수방안 연구
- 교재·교구 활용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 경험 탐색
- 위기가정 지원에서 ‘위기’와 ‘재기’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당사자와 실무자의 인식 비교
- 출산양육지원제도가 청년 임금근로자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출산·양육지원제도의 영향을 중심으로
- 고등학생의 사회적 위축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영향: 우울 및 신체화 증상의 연속다중매개효과
- 초등학생의 ADHD 경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식습관, 생활습관, 가족환경 및 성별 중심으로
- 독거노인의 디지털 사회자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영향: 사회적 고립감의 매개효과
- 웹툰 전공자의 표준현장실습학기제 참여 경험이진로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유학생 전담 국제대학 설치 현황과 제언
-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공격성 및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디지털정보화수준이 디지털활용역량과 인공지능역량 및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원과 교수의 서번트 리더십이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 Kingdon모형을 적용한 군 평생교육 정책결정 과정에 관한 연구
- 요양병원 간호사의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영향 요인
- A Study on High-flex Education Methods Through Comparison of Flipped Learning Between Face-To-Face Learning and Real-Time Zoom Classes: A Case Study of a Chosun University
- 유아교사의 놀이민감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놀이지원효능감과 놀이지원역량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헨리 게하르트 아펜젤러의 교육사상
- 대학생의 군 복무 이후 제적 시점별 특성
- 주디스 버틀러의 취약성의 윤리학과 사회복지실천
- 여가제약이론에 기반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여가정책 인식과정책 우선순위: IPA 분석을 중심으로
- 경찰행정조사의 범죄수사 이행 문제에 대한 고찰 - 해상검문검색 중심으로
- OTT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가 “제주” 관련 보도 변화에 미친 영향
- 성인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방향
- 성인학습자의 학습 참여와 학업 지속 동기 탐색 연구
- 학교는 죽음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
참고문헌
- 아시아교육연구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서울
- 언어청각장애연구
- 국어교육학연구
- 언어치료연구
- 언어치료연구
- 언어
- 언어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언어청각장애 연구
- 학습장애연구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언어청각장애연구
- 언어치료연구
- 언어치료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 말소리
- 언어치료연구
- Perspectives of the ASHA Special Interest Groups
- Cognitive Science
- Discourse Analysis and Applications
- Topics in Language Disorders
-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Educational Psychologist
-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 Harvard Educational Review
-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 Clinical Linguistics & Phonetics
-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 Reading and Writing
- Language development across childhood and adolescence
- Language and reading disabilities
- Cognitive Development
- Language, Speech, and Hearing Research
-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Emotions, Resilience, and Teacher Identity Formation in Teaching Practicum: The Perspective of Chinese Student Teachers
- 수도권 대학 외국인 유학생 전주기 경험과 종합 관리 체계 탐색
- 일본 사회 보수화의 구조: 사회적 다양성과 정당의 적응, 아래로부터 보수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