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가제약이론에 기반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여가정책 인식과정책 우선순위: IPA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Leisure Policy Perceptions and Priority Setting of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Based on the Leisure Constraints Theory: Focusing o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발행기관
K교육연구학회
저자명
조한라(Han-Ra Cho) 김종명(Jong-Myoung Kim)
간행물 정보
『사회과학리뷰』제10권 제3호, 93~11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 여부에 따른 여가정책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여가정책의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23년 「국민여가활동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중요도-만족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비장애인은 ‘다양한 여가시설’을 가장 중요하고 만족도가 높은 영역으로 인식한 반면, 장애인은 ‘질 좋은 여가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을 가장 중요하게, ‘다양한 여가시설’을 가장 만족도가 높은 영역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우선개선이 필요한 정책 영역은 비장애인의 경우 ‘여가관련 전문인력 양성 및 배치’, 장애인의 경우 ‘소외계층 여가생활지원’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지·강화가 필요한 영역은 비장애인의 경우‘질 좋은 여가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과 ‘여가시설의 다양성’이었으며, 장애인의 경우는‘질 좋은 여가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여가시설의 다양성’, ‘여가관련 전문인력 양성 및배치’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인의 여가 접근성 제고와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satisfaction of leisure policies between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nd toidentify policy priorities. Using data from the 2023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was conducted. The findings revealed thatnon-disabled respondents rated 'diverse leisure facilities' highest in both importanceand satisfaction, whereas respondents with disabilities considered 'development anddissemination of high-quality leisure programs' most important and 'diverse leisurefacilities' most satisfactory. Priority areas for improvement were identified as'training and deployment of leisure professionals' for the non-disabled and 'supportfor leisure activities of marginalized groups' for the disabled. Maintenance prioritiesdiffered by group but commonly included 'high-quality program development' and'facility diversity.' These results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enhancing leisureaccessibility and improving program qual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한라(Han-Ra Cho),김종명(Jong-Myoung Kim). (2025).여가제약이론에 기반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여가정책 인식과정책 우선순위: IPA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리뷰, (), 93-111

MLA

조한라(Han-Ra Cho),김종명(Jong-Myoung Kim). "여가제약이론에 기반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여가정책 인식과정책 우선순위: IPA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리뷰, (2025): 93-1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